3. 날법(捏法)
3지날법(三指捏法)과 5지날법(五指捏法) 2가지가 있다.
[동작요령]
3지날법은 무지와 식지, 중지 양손가락으로 지체를 낀 채 맞잡아 제압(?壓)하는 것이다. 5지날법은 무지와 다른 네손가락으로 지체를 낀 채 맞잡아 제압?壓()하는 것이다. 맞잡아 힘을 주어 제압동작을 할 때 순서에 따라, 균등하고 율동적이어야 한다.
[임상응용]
본법은 두부, 경항부, 사지 및 요척에 적용하는데, 서근활락(舒筋活絡), 행기활혈(行氣活血)의 작용이 있다.
4. 나법(拿法)
집어서 들어올리는 것을 나(拿)라 한다.
[동작요령]
무지와 식지, 중지 양손가락으로, 또는 무지와 다른 나머지 네 손가락을 맞잡아 일정부위 및 혈위에 힘을 주어 율동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제날(提捏;집어들어올리기)이라 한다. 조작 시 가벼운데서 무거운데로 힘을 주고, 돌발적인 힘은 안 되며 동작은 완화하고 지속성이 있어야 한다.(그림 5-14)
[임상응용]
임상에서 흔히 다른 수법과 배합하여 견부와 사지부위에 사용한다. 거풍산한(祛風散寒), 개규지통(開竅止痛), 서근활락(舒筋活絡)의 작용이 있다.

그림 5-14 나법(拿法)
주)
거풍산한(祛風散寒) : 풍과 한(寒:찰한)을 몰아낸다.
개규지통(開竅止痛) : 막힌 구멍을 뚫어주어 통증을 그치게 한다.
서근활락(舒筋活絡) : 근육을 이완시키고 경락을 소통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