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완이두근장건 활탈(肱二頭筋長腱 滑脫) - 물리추나 외과학
상완이두근장건 및 그 주위 조직의 해부 특징으로서
상완이두근장건은 견갑골와상결절에서 기시하여 아래로 상완골두를 넘어
견횡인대와 상완이두근건초의 신전부를 뚫고 결절간구의 골섬유관 속에 숨는다.
구의 내측에 견갑하근, 외측 상부에 극상근과 오구상완인대, 하부에 대흉근이 덮고 있다.
관절낭은 결절관구에 들어있고 근건은 활막으로 포위되고 건초는 길이 약 5cm이다.
정상적인 상완이두근장건은 견관절 활동시 종방향으로 활동하고
더욱이 외전 외선 시 그 활동이 최대가 된다.
이 골섬유관은 얕아져서 횡인대 이완 또는 팔열 시 활탈의 가능성이 있다.
〔병인병기〕
상완이두근장건 활탈은 대흉근과 흉갑하근 부착부위의 만성적 파열에서 오는데,
이두근장건이 결절간구 내연에서 활탈하여버린 것이다.
상완이 외전과 외선을 다 하였을 때 상완이두근장건의 연조직 파열을 보호할 수 있으나
근건의 활탈이 발생한다. 임상에서 습관성 및 외상성 2가지로 나눈다.
(1) 습관성 활탈
선천성 소결절 발육불량, 결절간구 내측벽의 경사도 감소로 인한다.
중년 이후 관절이 퇴행성으로 변하므로 대흉근과 흉갑하근의 부착부위가 찢겨지거나
느슨하여져 상완이두근장건의 이완 또는 연장, 결절간구의 저부에 골질이 증가하고
구가 얕아지는 등 때문에 흔히 근건이 활탈하게 된다.
(2) 외상성 활탈
견관절 손상의 병발증으로서, 견관절 탈위, 상완골대결절 또는 상완골경 골절 후에 보인다. 결절간구 상의 견횡인대의 찢김 때문에 상완이두근장건의 활탈이 유발된다.
〔임상표현〕
습관성 상완이두근장건의 활탈은 일반적으로 가벼운 외상이다.
활탈 후에 상완이두근장건 자리에 극통, 종창, 상완의 무력, 기능활동 피로,
특히 어깨의 외전 외선과 전굴외선 활동 시 툉기는 것을 느끼거나 툉기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치료가 미흡하면 근건염, 국부적인 점연, 일상적 동통이 유발될 수 있다.
외상성 활탈은 흔히 견관절 탈위 또는 상완골경의 골절 등의 심한 창상과 방치로 병발한다.
일단 관절탈위나 골절이 회복되면 활탈된 근건 역시 따라서 회복된다.
다만 급성 외상으로 인하여 결절간구 전측의 횡인대 파열로 장건이 활탈되거나
또는 이두근장건과 연학한 부근의 비교적 거친 부위가 근건관 내에 끼어있기도 한다.
임상표현은 견전부의 동통이 상완을 내선할 때 나타나고,
견갑상완관절 기능상실, 흉견관절의 활동은 되나 견부의 각 방향 활동기능 상실 등이다.
걸을 때 다친 팔의 전후 요동을 할 수 없고 환자들은 흔히 다친 쪽 전완을 건측 손으로 받치고
주관절을 굽혀서 활동과 상지의 중량감으로 인한 동통을 감소시킨다.
〔검사〕
국부에 압통, 종창이 나타나고 견관절 활동기능이 제한을 받는다.
상완을 외전 외선할 때 마찰감이 느껴지고 툉기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심한 외상환자는 X-선 촬영으로 골절 및 관절탈위가 없는가 확인하여야 한다.
〔치료〕
치료원칙 : 이근정복법(理筋整復法)
수 법 : 안법(按法), 유법(?法), 퇴법(堆法), 탄발법(彈拔法)
조작방법
: 患者正坐, 醫者立于患者對側, 右手四指放于肩上部,
掌心向下, 拇指放于三角肌前緣中部,
拇指用力?住肱骨頸部, 卽肱二頭肌長腱處,
환자는 정좌하고 시술자는 환자의 상대측에 서서 오른손 네 손가락을 견상부에 놓고,
손바닥은 아래로 향하며 무지는 삼각근 전연의 가운데에 놓아
무지에 힘을 주어 상완골경부, 즉 상완이두근장건 자리에 붙인다.
左手握患肢腕關節上部, 患者掌心向前,
肩外展至60??, 幷前屈40?, 兩手對抗牽引,
在牽引下將患者前臂逐漸旋后,
幷把肩放回至40?外展位,
使放下的前臂盡量旋后(圖7-14(1))
왼손은 아픈 쪽의 완관절 상부를 쥐고, 환자의 손바닥은 앞으로 향하게 하여
60도까지 어깨를 외전함과 함께 전굴을 40도까지 하며, 양손을 서로 견인하여
아래로 견인하면서 환자의 전완을 조금씩 선후(旋後)하여
어깨를 외전 위치 40도까지 돌려
내려뜨린 전완을 완전히 선후(旋後)되도록 한다(그림4-14(1)).
그림4-14(1)
此時, 右手拇指指掌面用向外向上按,
推滑脫的肱二頭肌長腱,
同時左手將患肢作急거 旋前活動(圖7-14(2)).
如此滑脫的肱二頭肌長腱卽被拇指推回原位(圖7-14(3)).
隨后用拇指在原處輕輕地按?,
最后用兩手掌分別按于肩部前及后側旋轉按?.
이때 오른손 무지 지장면(指掌面)으로
활탈된 상완이두근장건을 향외향상(向外向上)으로 누르고 밀며
동시에 왼손으로 환측을 재빠르게 선전활동을 한다(그림4-14(2)).
이와같이 활탈된 상완이두근장건을 무지로 추동하여 원위치한다.(그림 4-14(3))
이어서 무지로 원래의 자리를 가볍게 안유(按?)하고
마지막에 양손바닥을 나누어 견전부를 누르고 견후부를 선전안유(旋轉按?)한다.
그림4-14(2) 그림4-14(3)
如肱二頭肌長腱向上嵌入于腱管內,
可將右手拇指放于肱二頭肌腱?腱聯合處,
施行彈發手法,
將嵌入腱管內的肌腱向外拉出.
상완이두근장건이 위로 향하여 건관 속에 끼어 있으면
오른손 무지를 상완이두근의 건과 건이 연결한 자리에 놓고
탄발수법을 써서 건관(腱管) 내에 낀 근건을 밖으로 잡아 뺄 수 있다.
〔주의사항〕
회복 후 상완을 내수내선 위치로 놓고 전완을 삼각붕대로 걸어 매어 2~4주간 고정시킨다.
활동시 견부의 심한 외전 외선 활동을 피하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국내유일의 정통추나교육학회
국제물리추나학회(www.iptti.com/ http://cafe.daum.net/iptti)
'질환별 도수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물리추나수기치료 - 정형외과편 - 견봉하 활낭염(肩峰下滑囊炎) (0) | 2009.10.30 |
---|---|
[스크랩] 극상근건염, 극상근건칼슘화(綱狀筋筋腱炎, 綱上筋筋腱?化) -물리추나외과학 (0) | 2009.10.30 |
[스크랩] 건강상식란과 디스크란의 원본입니다. (0) | 2009.10.30 |
[스크랩] 물리추나 수기치료 - 뇌졸중(중풍) (0) | 2009.10.30 |
[스크랩] 물리추나 수기치료 - 고혈압(Hypertension) (0) | 2009.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