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별 도수치료학

[스크랩] 견봉하활낭염(肩峰下滑囊炎, Subacromial Bursitis) - 물리추나치료

한 울 타 리 2009. 10. 30. 17:28

  견봉하 활낭염(肩峰下滑囊炎)

 

견봉하활낭(肩峰下滑囊炎, Subacromial Bursitis) 수술장면


**동영상이나 그림이 보이지 않는 게시판은

학회카페(http://cafe.daum.net/iptti) 성인물리추나학란에

오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견봉하활낭 또는 삼각근하활낭이라고도 하는데,

삼각근 하면과 극상근 상면에 위치하며

이 낭은 견봉하와 삼각근하 양 부분으로 나누어져

둘 사이에 하나의 얇은 중간격막이 있을 수 있는데 대부분 서로 통하고 있다.


  활낭은 상완골결절간구와 단소선전근으로 덮여 있고

정부(頂部), 견갑골견봉, 오구돌기는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활낭의 저부는 단소선전근과 상완골대결절에 연접하여 있다.

극상근근건과 견관절의 상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고

낭저(囊底)의 대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상완  외전 시 직각을 이룰 때 활낭은 거의 완전히 견봉하에 숨어버려 볼 수 없다.


 

  상완골대결절과 삼각근, 견봉돌기 사이에 벌려진 곳에 있는 활낭은

내부에 활액막으로 덮여 있다.

주요한 기능은 상완골대결절에 견봉돌기 하면과의 마찰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가끔 장기적인 마찰로 인하여 노손이 생겨 활낭수종(滑囊水腫)이 발생하고

두꺼워지면 무균성 염증 또는 활낭벽 내에 상호 점연이 발생하여

상완의 외전과 견관절의 선전활동에 장애를 주기도 한다.


견봉하 활낭염 MRI

(A,B:아래방향에서 CD:축방향에서  E:시상면에서)


 

  [병인병기]

  견부에 뚜렷이 직접적인 타격상을 받거나 견부 외전 시

간접적으로 폭력적인 비틀림을 받았을 때 급성 견봉하활낭염이 될 수 있다.

견봉하활낭염은 통상 단독적인 현상은 아니고 견관절 인근조직의 퇴화와 만성염증,

더욱이 극상근건염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극상근근건이 견봉하활낭의 저부에 있기 때문에

만성 노손 또는 퇴행성 병변시 견봉하활낭은 필연적으로 동시에 영향을 받아,

이로써 견봉하활낭에 병변이 있으면 역시 극상근근건의 질병이 숨어 있는 것이 된다.


  [임상표현]

  견외측면의 동통과 흔히 삼각근을 끝까지 당겨

상완을 외전외선 활동을 할 때 동통이 더 심하여 진다.

견봉 하에 압통이 있다.

활낭의 팽창으로 인한 급성기에는 삼각근 전연에 원형 종창이 나타난다.


  초기에는 견부의 활동이 아주 가볍게 제한을 받으나

오래되면 건수점연(腱袖粘連)으로 견부활동에 장애를 받는다.

극상근과 극하근의 근육위축이 빨리 나타나고 만기에는 삼각근 위축도 나타날 수 있다. 

 


 

  [추나치료]

 

견관절주위염 추나치료 :실제치료는 6분이후에 시작합니다.


**동영상이나 그림이 보이지 않는 게시판은

학회카페(http://cafe.daum.net/iptti) 성인물리추나학란에

오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1) 급성기

  

  치료원칙 :  소어지통법(消瘀止痛法)


  치료수법 : 유법(揉法), 찰법(擦法)


  치료조작 :

 

   (원문발췌)

  急性期宜消瘀止痛法 ; 手法宣輕柔.

  患者正坐, 患肩自然下垂,

  醫者在患側, 面對患者, ?,擦患肩三角肌部位,

  ?擦時可配用冬靑膏, 紅花油等,

  以加强消瘀止痛的作用, 同時配合局部熱敷.

  治后宜使上臂外展位置制動休息.


  급성기에는 소어지통법 원리를 이용함이 마땅하며 수법은 가볍고 부드럽게 해야 한다.

환자는 정좌하고 환측어깨는 자연스럽게 내려뜨리고,

시술자는 환측에서 환자를 대면하여 삼각근 부위에 유법, 찰법을 시술하며,

시술시 동청고(冬靑膏), 홍화유(紅花油) 등을 배합할 수 있고

소어지통 작용을 더 강하게 하기 위하여 국부적으로 핫팩 치료를 배합한다.

치료 후에는 상완을 외전위치로 고정시켜 휴식을 취하게 한다.

 


 

 

  (2) 만성기


  치료원칙 : 활혈화어법(活血化瘀法), 활리관절법(滑利關節法) 


  치료수법 : 곤법(滾法), 안법(按法), 유법(揉法), 나법(拿法), 찰법(擦法)


  치료조작 :


  慢性期宜活血祛瘀, 滑利關節法.

  醫者一手托患肢于稍外展位,

  一手用滾法在肩部三角肌處治療.

  然后, 在肩部施按?法及輕快的拿法.

  最后在患部用擦法, 以透熱爲度.


  만성기에는 활혈거어법과 활리관절법이 마땅하다.

환자는 정좌하고 시술자는 한손으로 환측 지체를 조금 외전한 위치에서

다른 손으로 견부의 삼각근 자리에 곤법을 시술하여 치료한다.

그런 후 견부에 안유법 및 경쾌한 나법을 시술한다.

마지막에 환부에 찰법을 써서 열이 침투하도록 한다.



  對有粘連而致關節活動功能受限者,

  在治療時要加强肩關節各方向的被動運動,

  逐漸改善關節的活動範圍.

  治后可配合熱敷,

  幷囑作肩關節主動功能鍛鍊.


  점연이 있어 견관절 기능활동에 제한을 받으면

치료시 견관절 각 방향의 피동운동을 추가하여

견관절 활동범위를 조금씩 개선하도록 하여야 한다.

치료후에는 핫팩 치료를 배합할 수 있고,

환자에게 견관절의 기능 단련을 독려하여야 한다.


 

 국내유일의 정통추나교육학회

국제물리추나학회(www.iptti.com/ http://cafe.daum.net/iptti)

 

 

출처 : 국제물리추나학회
글쓴이 : 한울타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