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 염좌(삠: Cervical sprain)
염좌는 인대나 건이 외부의 힘에 의해 늘어나거나 파열되는 것을 말하며,
근육의 이완이나 파열은 좌상(Strain)으로 구분하는데, 임상에서는 구분하기 어렵고
동시에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경추염좌나 좌상은 교통사고뿐 아니라 잠을 잘 못 자도 올 수 있고,
컴퓨터에 장시간 보내는 사람들 중에 잘못된 자세나 한 자세로 오래있으므로
경직된 근육을 풀지 않은 상태가 반복, 지속되면 올 수 있다.
그 중에서 교통사고를 예를 들면,
방심하고 있다가 뒤에서 받치는 추돌사고의 경우에 경부염좌가 제일 많이 발생한다.
대부분 사고 당시에는 통증을 느끼지 못하다가 다음날 아침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그림1 : 차가 급정거나 추돌시 고개가 앞으로 꺽이는 모습.
(그림파일이 보이지 않는 게시판은 학회카페 성인물리추나학란의 경부염좌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것은 통증이 즉시 나타나는 경우와 5~24시간 후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사고 당시에 긴장되고 정신이 없어서 통증을 느끼지 못하다가 후에 긴장이
풀리면서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경추에서 가장 손상을 잘 입는 부위는 환추와 축추로 불리는
제1~2 경추사이와 제5~6경추 사이인데, 환추와 축추는 경추에서
회전각과 운동범위가 제일 크고, 큰 만큼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손상을 잘 입는 부위이다.
경미한 손상은 소염,진통제와 근 이완제, 그리고 물리치료로 치료가 되나
이완, 파열이 심하면 탈구까지 발생되고 후유증이 지속적으로 남는다.
만일, 목의 통증뿐만 아니고 팔까지 저린 증상이 나타나면
경추간판탈출증을 확인하기 위한 정밀검사(MRI 혹은 CT)를 해야 한다.
그 외에 근막 동통 증후군이나 경추 관절면 증후군 등 만성으로 병이 고착되는
경우도 있다.
그림2 : 척추 주변의 인대
이러한 염좌(sprain; 捻挫)나 좌상(Strain, 挫傷) 즉 근육, 인대, 건의 손상은
이러한 조직이 평소에 얼마만큼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느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근육이 신축성과 탄력성을 정상으로 유지하고 있다면,
다소 무리한 충격이 오더라고 손상 받지 않고 손상을 입어다 해도
회복이 빠르게 진행되지만,
근육이 신축성과 탄력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면 작은 충격에도
받아내지 못하고 손상을 입을 것이며,
근육과 그 주변조직이 건강하지 못하면 골격의 위치에도 변화를 초래하여
관절과 골격이 정상 자세에서 변형된 자세로 바꾸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추간판탈출증, 척추협착증을 비롯해서 퇴행성 골격계 질환 등
많은 골격계 질환은 근육을 비롯한 주변 연부조직의 건강상태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연부조직의 건강상태를 정상으로 유지한다는 것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인체의 생리학적으로 살펴보면 모든 신체 조직의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말과 같다.
그림3 : 추돌 당시 목이 뒤로 갔다가 다시 앞으로 꺽이면서
앞,뒤로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추나치료법
1.검사
추나치료는 사진(四診;망(望),문(聞),문(問),절(切))을 통하여 환자를 검사한 다음,
치료에 임하게 된다.
우선 망진(望診)을 통하여 환자의 상태와 병소를 가늠하고,
문진(聞診), 문진(問診)을 통하여 경추질환의 발생 원인과 병력 등을 기록한다,
이어서 근,골격계질환에서 가장 중요한 절진(切診)을 통하여 경추의 상태를
꼼꼼하게 점검하며 치료원칙을 세우게 된다.
이때 병원에서 갖고온 X-Ray, MRI등을 반드시 참고하여야 오진률을 줄일 수 있다.
혹, 그런 필름이 없다면 경추부위는 섣부르게 치료를 하면 되지 않는다.
특히 경추 1,2번일 경우에 필름에 의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경우에만
치료에 임하여야 한다.
그림4 : 환추(C1, Atlas), 축추(C2, Axis)의
골절로 고형물질로 고정시켜놓은 모습
절진의 첫 번째는 모지안유법으로 세밀하게 압통점을 체크하는 일이다.
압통점은 치료부위의 중요한 곳이며, 인체의 어느 조직이 손상을 입었는지
추정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부위이므로 꼼꼼하게 진단하여야 한다.
두 번째로 경추의 골격계를 촉진하는데,
머리 뒤에 외후두융기부터 유양돌기(mastoid)를 비롯하여
경추극돌기(C2~C7)의 위치와 정렬상태를 압통점과 비교하며 촉진한다.
동시에 추간관절(facet joint : 극돌기 외측 2,5cm정도에 위치)을 촉진하는데,
앙와위에서 힘을 뺀 상태에서 승모근 하부에서 촉진한다.
세 번째로 연부조직을 촉진하는데,
흉쇄유돌근(SCM m.), 승모근(trapezius muscle, 僧帽筋)등 목 뒷부위의 근육과
목덜미인대(superior nuchal ligament : 외후두융기에서 C7극돌기까지 극돌기 위로
연결되어 있는데, 그 부위의 압통은 경추의 굴곡손상으로 인대가 늘어났거나
외상성 결손을 의미하는 것이다. 교통사고등으로 인한 심한 과굴곡은 C4~C7에서
많은 손상을 입으며 연부조직의 한계를 넘게되어 인대파열로 이어진다)등을
촉진하는데 일반적으로 교통사고는 목덜미인대, 황색인대, 추간판의 섬유륜, 낭인대등이
많은 손상을 입게된다.
그림5 : 환추(C1, Atlas)의 인대에 쌓여서 축추(C2, Axis)가
회전하는 모습. 경추회전의 50%는 여기서 일어나며,
나머지 50%는 다른 경추에서 비교적 균등하게 일어난다.
네 번째로 관절운동범위(ROM, range of motion)를 확인해 본다.
경추의 관절운동은 굴곡과 신전(굴곡과 신전의 50%는 후두골과 C1 사이에서 일어나며
나머지 50%는 비교적 균등하게 일어난다),
회전(회전의 약 50%는 C1(환추,atlas)와 C2(축추,axis)에서 일어나며 나머지 50%는
다른 5개의 경추에서 비교적 균등하게 일어난다),
측굴(정상적 측굴은 모든 경추의 기능이지만 회전요소와 결합해서 일어나며
어깨를 향하여 약45도 기울일 수 있다)등을 확인한다.
이상과 같이 4가지를 촉진하며 검사하는데,
이 검사를 통하여 해부학적인 구조상태와 조직의 정상유무,
그리고 관절의 정상유무를 확인하여 치료원칙을 세우게 되는 것이다.
특수검사
경추를 비롯한 척추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특수검사로서 대표적인 것 몇가지를 보면,
견인검사(distraction test - 경추견인으로 통증이 감소되는 효과를 입증하는 검사로서
신경근 압박의 원인인 추간공을 넓힘으로 통증을 감소시킨다).
그림6 : 견인검사(distraction test)
압박검사(compression test - 추간공의 협착, 추간관절의 압력, 근육경련은 압박에
의해 통증이 증가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압박검사는 경추로부터 상지에
관련통을 재현해 볼 수 있고 그 통증이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신경학적 레벨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검사는 환자가 않은 상태에서 머리상부에서 하부로
압력을 가한다).
그림7 : 압박검사(compression test)
발살바검사(Valsalva test - 이 검사는 척수내압(intrathecal pressure)을 증가시키
는 검사로서 추간판탈출증이나 종양같은 질병이 경추관 내에 있다면 압력이
증가하여 2차적으로 동통이 발생한다. 또 경추병변의 신경학적 레벨에 일치하
는 피부절 분포에 따라 방사될 것이다. 검사는 환자에게 화장실에서 힘쓸 때처
럼 숨을 들이쉬고 아랫배에 힘을 주도록 한다. 그 다음 어떤 통증이 증가되는
가 물어보고 그 위치가 어디쯤인지 확인하도록 한다).
2. 치료 - 치료전에 통증부위와 운동제한 방향과 각도를 반듯이 환자에게 확인.
ㄱ. 압통점 및 손상부위 치료
곤법(滾法) : 곤법은 완관절의 굴신운동과 전완의 선전운동이 복합하여 이루어진다.
완관절의 굴신은 제2~제4장지관절(掌指關節)의 등(背) 쪽을 축으로
완성되며, 전완의 선전운동은 손등의 척측을 축으로 완성된다.
곤법은 압력이 크고 접촉면도 꽤 커서 견배, 요둔 및 사지 등 기육이
풍부한 부위에 적용한다.
그림 8 : 곤법(滾法)
(1) 곤법 훈련시의 체위 (2) 곤법 고정부위와 접촉부위
(학회카페의 우리전통수기법 - 기본수기동작란이나 동영상강의란에 오시면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일지선퇴법(一指禪推法) : 무지의 끝, 지문면 또는 편봉(偏峰)으로 일정부위 또는
혈위에 힘을 가해 팔은 느슨하게 하고 어깨는 쳐지게 하고 팔꿈치는
늘어뜨리고 팔은 공중에 걸린 듯 하고, 주관절은 팔목보다 약간 낮게
하고 팔꿈치를 한 지점으로 하여 전완을 주로 움직여 파동(擺動; 흔들기)
하고 팔의 파동과 대동(帶動)하여 지관절의 굴신(屈伸)운동을 한다.
본법의 접촉면적은 비교적 작으나 침투력은 커서 전신 각부의 혈 자리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림 9 : 일지선퇴법(一指禪推法)
(1) 좌위자세 (2) 팔은 걸린 듯, 빈주먹,
무지는 자연스럽게 붙임
나법(拿法) : 집어서 들어올리는 것을 나(拿)라 한다.
무지와 식지, 중지 양손가락으로, 또는 무지와 다른 나머지 네 손가락을
맞잡아 일정부위 및 혈위에 힘을 주어 율동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제날(提捏;집어들어올리기)이라 한다. 조작 시 가벼운데서 무거운데로
힘을 주고, 돌발적인 힘은 안 되며 동작은 완화하고 지속성이 있어야 한다.
임상에서 흔히 다른 수법과 배합하여 견부와 사지부위에 사용한다.
거풍산한(祛風散寒), 개규지통(開竅止痛), 서근활락(舒筋活絡)의 작용이 있다.
그림10 : 나법(拿法)
나법(拿法)
유법(揉法) : 손바닥의 대어제(大魚際) 또는 장근(掌根)으로 일정부위나 혈위에 고정하고
팔은 느슨하게 하여 팔꿈치를 지점으로 전완을 주로 움직여 파동(擺動)을
하며, 팔도 가볍고 부드러우며 완화한 파동을 대동한다.
본법은 아주 유화하고 자극이 매우 적어 전신 각부에 적용한다.
완복통(脘腹痛), 흉민협통(胸悶脇痛), 변비, 설사 등 장위질환 그리고
외상으로 인한 홍종동통(紅腫疼痛)등에 상용한다
그림 11 : 유법(揉法)
(1) 어제유법(魚際揉法) (2) 장근유법(掌根揉法)
탄법(彈法) : 한손가락의 지복(指腹)으로 다른 손가락의 손톱을 꽉 우른 채 힘을 주어
튕겨 치료부위를 연속적으로 탄격(彈擊)한다.
조작 시 탄격하는 힘은 균등하고 분당 탄격은 120~160회로 한다.
본법은 전신 각부에 적용하며 더욱이 두면, 경항부에 많이 상용하는데,
서근통락(舒筋通絡), 거풍산한(祛風散寒)의 작용이 있다. 항강(項强), 두통에
본법을 상용하여 치료한다.
그림12 : 탄법(彈法)
탄법(彈法)
ㄴ. 경추전체
요법(搖法) : 관절을 피동적으로 환전활동(環轉活動)을 시키는 것을 요법이라 한다.
(1) 경항부요법(頸項部搖法) : 한손으로 환자의 두정(頭頂) 뒤쪽을 잡은 채 다른 손으로는
아래턱을 받쳐서 좌우로 환전요동(環轉搖動;돌리기)을 한다.
(2) 견관절요법(肩關節搖法) : 한손으로 환자의 어깨를 잡은 채 다른 손으로 팔을 쥐거나
팔꿈치를 받치면서 환전요동(環轉搖動)을 한다.
그림13 : 견관절요법(搖法)
견관절요법(肩關節搖法)
(3) 관관절요법(髖關節搖法) : 환자는 드러눕고 엉덩이와 무릎을 구부린다.
의사는 한손으로 환자의 족근(足根)을 받치고 다른 손으로 무릎을 잡은 채
관관절을 환전요동(環轉搖動)시킨다.
그림14 : 관관절요법(髖關節搖法)
관관절요법(髖關節搖法)
ㄷ. 반법
반법(扳法)은 아탈구(Subluxation)나 탈구(Dislocation)된 관절부위의 골격계를
정상위치로 회복시켜주는 수기법으로 흔히 chiropracter, 또는 척추교정사들이
순간적으로 짧고 빠른 힘을 주어 행하는 척추교정기법으로 이해하면 될 것입니다.
그림15 :경추반법(扳法)들
4. 통증부위의 통증감소와 운동제한의 개선정도를 확인시켜준다.
이상과 같은 치료의 방법 외에도 경락학설에 의한 치료 또한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경락에 적용하는 수기법은 일지선퇴법, 안유법(按揉法), 압법(壓法), 탄발법(彈發法)등이 있으며, 치료의 원리를 잘 간파한 수기사는 경혈점 하나만 갖고 치료하는 일혈요법을 구사할 수 있는 수기법이다.
5. 경락학설에 의한 치료
: 합곡, 풍지, 발뒤꿈치
합곡, 곡지, 견전등 - 팔의 앞면 통증
합곡, 견우, 견료, 견정(담경) - 팔의 측면 통증
후계, 외관, 천종 - 팔의 후면 통증.
5. 통증부위의 통증감소와 운동제한의 개선정도를 확인시켜준다.
(그림파일이 보이지 않는 게시판은 학회카페 성인물리추나학란의 경부염좌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희는 지난 6월에 대한물리치료사협회에 연구회로 등록된 대한수기물리치료학회
교육부입니다.
지금은 국제물리추나학회(http://cafe.daum.net/iptti)로 활동하고 있으며,
정통추나교육과, 우리나라의 전통수기법을 재현하여 보급하는 일을 주 업무로 하고 있는
수기치료전문교육학회입니다.
앞으로 추나수기치료에 관한 글을 자주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학회에 자료및 동영상등을 둘러보시면 추나를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고맙습니다.
요녕대 추나사, 호주한의사(ATMS), 물리치료사 학회장 고정호 배상(拜上).
국내유일의 정통추나교육학회입니다. 031-746-2011, 010-5167-4439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1244번지 2층
대한수기치료학회(국제물리추나학회)
(http://cafe.daum.net/iptti , http://www.iptti.com)
'질환별 도수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견봉하활낭염(肩峰下滑囊炎, Subacromial Bursitis) - 물리추나치료 (0) | 2009.10.30 |
---|---|
[스크랩] 오십견(Frozen Shoulder, 凍結肩) - 국제물리추나학회 (0) | 2009.10.30 |
[스크랩] 추나수법(推拿手法)의 종류 (0) | 2009.10.30 |
[스크랩] 상완골외상과염(肱骨外上踝炎 : tennis elbow) (0) | 2009.10.30 |
[스크랩] 정통추나수기법 - 골다공증(OSTEOPOROSIS) - 물리추나학회제공 (0) | 2009.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