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질환

[스크랩] 척추후만증(Kyphosis)

한 울 타 리 2011. 6. 27. 10:37

척추후만증(Kyphosis)

 


  척추 후만증은 척추가 앞쪽으로 완만하게 굽어진 형태의 정상적인 만곡을 잃은 상태를 말하며, 옆에서 보았을 때 척추가 일자로 꼿꼿하게 서있기 때문에 '일자 허리'라고 불리기도 한다. 척추후만증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저하시키고, 디스크와 척추 주변 근육, 인대를 약화시켜 통증이 발생하며, 또한 퇴행성 변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방치했을 경우 디스크 및 각종 척추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후만증의 분류


  후만증은 모양에 따라 2가지로 분류된다. Type I은 원형 척추 후만증(round kyphosis)으로 장분절의 척추를 포함하고 신경증상의 발현 가능성이 비교적 적으며 대표적인 예로 Scheuermann 척추 후만증(Scheuermann’s kyphosis), 강직성 척추염에 속발된 후만증 등이 있다.


  Type II는 예각상 척추 후만증(acute angular kyphosis)으로서 3~4개의 척추 분절에서 후만 변형이 발생된것으로 보통 그 각도가 크며, 신경증상의 가능이 많고 대표적인 예로 결핵성후만증, 선천성후만증등이 이 경우에 해당된다. 치료에 있어서도 Type I은 후만 교정과 고정(correction and stabilization)이 비교적 쉬우나Type II는 신경마비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교정보다는 더 이상 진행을 방지하는데 치료의 중점을 두게 된다.


  원인에 따른 분류는 불량한 자세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으며, 청소년기에 특발성으로 발생되는 S c h e u e r m a n n씨병, 선천성, 신경 근육성, 척수 수막류에 의한 후만증, 외상성, 대사성(골 다공증, 골 연화증, 골 형성 부전증등), 골이형성증(연골 무형성증, 점 다당질증, 신경섬유종등), 교원병(강직성척추염등), 종양, 염증성, 퇴행성등이 있다.

 


 

자세성 후만증 (Postural Kyphosis)


  전체 후만증중 가장 흔한 유형으로 주로 신체의 급성장기인 청소년기에 다른 친구들보다 키가 커서 이를 줄이려고 웅크린다든지, 소녀들에게서 유방의 발달로 이를 감추게 하려는자세 등 불량한자세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자세성 후만증은 자세를 바르게 함으로서 그 후만이 쉽게 교정되는것으로 다른 후만증과 구별되며 장기간 경과된 경우에 방사선학적 변화가 관찰될수 있다. 치료는 바른자세를 갖도록 하는 교육과 훈련이 가장 중요하며, 배부근육강화운동으로 대부분 치료되나, 교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교정치료장비를 이용한 교정치료가 필요하다.


시상면의 생역학(Biomechanics of spinal sagittal plane)


  척추의 시상면은 출생 당시에는 후만곡을 유지하다가, 성장하면서 경추부와 요추부에 전만이 발생하기 때문에 흉추와 천추부의 후만곡을 일차만곡(primary curvature), 경추와 요추부를 이차만곡(secondary curvature)이라 부르며, 일차만곡은 이차만곡에 비하여 유연성이 적다.

 


 

  시상면에서의 중심축(sagittal vertical axis)은 정상적으로는 제 1 경추에서 제 1 흉추, 제 12 흉추를 지나 천추 융기부(sacral promontory)를 지나가게되며 흉부 만곡은 이 축의 후방에, 경부 및 요부만곡은 이 축의 전방에 존재하게 된다. 각 만곡의 정상적인 각도는 상당히 넓은범위를 갖고 있으며, 성별에따라, 연령에따라, 또한 보고자에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경추부의 정상적인 전만곡은25~50도이며 만곡의첨부(apex)는 C4이고 이 척추체가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


  흉추부의 후만각은 T1-T12를 측정하나 보통 어깨에가려 T1, 2 부위가 잘 보이지 않으므로 T3-12를 측정하기도하며 정상 범위는 20~50도이고 T7이 첨부이며 지면에 대하여 수평의 상태를 보이게 된다. 흉추부 만곡은 여성에서 약간 크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노령에 가서는 약 60도에 이르게 된다.


 

  요추부의 정상 전만각은 L1의 상단에서 S1의 상단을 측정하며, 정상 범위는 20~80도이고 첨부는 L3 혹은 L3-4 사이의 추간판이고, 전체 요추부 전만에 대한 각 분절 당 전만이 차지하는 비율은 L1-2가 5%, L2-3가 10%, L3-4가 18%, L4-5가 28%, L5-S1가 3 9 %의 비율로 구성된다.


  균형을 이루는 시상면(balanced sagittal plane)에서는 경추, 흉추, 요추부의 만곡은 서로의 만곡의 정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각각의 만곡의 절대적인 정도만으로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즉, 요추부에서 전만이 감소하게 되면 흉추부의 후만이 감소하게 되며, 고관절이나 골반에 이상이 없는 경우, 일반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시상면에서는 요추 전만이 흉추 후만보다 10~30도 정도크며, C7의 중심에서 내린 중심축은 천추 융기부 1cm 이내를 지나게되며, 흉요추부의(T10-L1) 시상면은 0~5도 이내의 전만을 보이게 된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기립상태에서 고관절을 포함한 척추 전장의 측면사진을 이용하여 고관절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직선(줄임: 고관절수직선), C7 추체의중심에서 수직으로 내리는선(줄임: C7 수직선), S1 추체의후상연을 지나는 수직선(줄임: S1 수직선), S1의 후상연과 S2의 추체 후연을 잇는 선을 이용한 거리 및 각도를이용하여 여러 측면에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Peterson은 L4, 5, S1의 전만각이 요추부 전체 전만각과 흉추 만곡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Stagnara, Jackson은 C7 수직선과 S1 수직선 사이의 직선 거리가 요추부의 전만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으며, Jackson은 임상적으로 고관절 수직선과 S1 수직선 사이의 직선거리와, 골반각(pelvic angle: 고관절 수직선과 고관절의 중심점, 그리고S1 수직선이 이루는각)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시상면에 대한 정적인 연구외에 고관절, 슬관절, 골반에 붙는 근육들과의 상관관계 등으로 인하여 보행분석등을 통한 역동적인 시상면의연구도 필요하다.

 


 

  정상적인 척추는 관상면(coronal plane)에서는 일직선으로 바르고 시상면(sagittal plane)에서는 이중 S형 곡선의 형태를 보여서, 머리와 체간의 무게가 골반 위에 균형있게 놓이게 해준다. 이는 척추 근육의 효율을 높이고, 시상면상 균형 유지를 위한 근육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며, 각 척추체를 시상면상 정위시킴으로써 추간판이나 후관절에 비정상적인 하중의 부하를 피하게 하여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이런 이유로, 최근 척추의 교정치료시에 시상면상 만곡의 유지가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를 늦출 수 있으리라 생각되고 있다. 요추부의 전만곡은 직립 자세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요추에서의 전만의 감소는 척추의 시상면상 부조화를 일으키는 주된 요인이 된다.


  이를 편평배부증후군(flatback syndrome)이라 하여, 과거에는 신연기기술을 이용한 흉, 요추부 후방 유합술 후 나타나는 요추부 전만 소실에 의해 초래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동양에서의 요추 시상면 변형은 다소 양상이 달라서 Takemitsu는 일본 농촌 지방의 중년의 환자들에서 배부 신전근 약화로 인한 요추체 또는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후만 변형을 보고하여, 이를 퇴행성 요추부 후만 변형이라 명명하였다.


  이는, 요추체나 추간판에 뚜렷한 구조적 변형이 없이 배부 신전근 약화로 초래되는 변성이라 믿어지고 있으며, 수술적 치료 여부와 치료 범위를 결정하기 어렵고, 시상면상의 부조를 회복하기 어렵기에, 그 치료 방법에 대하여 여러 저자들 간에 논란이 되고 있다.


  척추 만곡은 3차원적인 개념을 가지고 관상면뿐만 아니라 시상면상의 균형을 평가하여 흉부의 후만곡과 요부의 전만곡을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1973년 Doherty가 척추 측만증의 후방 유합술 후 요부 전만의 소실이 초래되어 전방으로의 체간 경사(symptomatic anterior forward inclination)가 발생한 환자를 양측성 골반 절골술로 치료한 것을 보고한 이래, 1977년 Moe와 Denis는 이를“편평배부증후군”이라 명명하고, 척추의 신전 절골술(vertebral extension osteotomy)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많은 저자들은 시상면 불균형이 주로 의인성으로 수술 후 발생하는 것이라 지적하고, Harrington 신연 기기의 사용이 주 원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동양에서 편평배부(flatback)가 발생하는 주 원인은 이와 달라서 1988년 일본의 Takemitsu는 중년 이상에서 추간판의 퇴행에 따른 추간판 간격의 감소와 척추체의 퇴행성 변화에 따른 높이 감소, 그리고 배부 신전근의 약화로 인한 동적 시상면 불균형을 초래하는 변형을 퇴행성 요추 후만증이라 명명하였으며, 임상적, 방사선학적, 그리고 역학적 조사 결과를 보고하였다.


  퇴행성 요추 후만증은 의자 생활이 보편화된 서구에는 거의 보고된 바 없으며, 일본이나 생활 양식이 비슷한 우리 나라에서만 보고되고 있다. Nakai는 대다수의 환자에서 추간판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후방 전만 복원술만으로 치료가 잘 된다고 보고한바 있다.


  요부 변성 후만증은 허리 신전근육이 위축되고 약해지면서 요추의 전만이 소실이 되고 보행 중 몸이 계속 앞으로 구부러지는 변형이다. 요부 변성 후만증에서 등이 앞으로 구부러지면 시상면의 균형을 무너뜨려, 고관절-골반-천추-요추 부를 중심으로 체간과 상지의 무게에 비례하는 전방 회전 모멘트를 형성하게 되므로, 환자가 기립 시나 보행 시에 비정상적인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 경우 고관절 신전 근육(대둔근, 중둔근, 슬관절 굴곡근 등)이 과도하게 수축하여 골반을 후방 회전시켜 지렛대의 길이를 줄이거나, 상지를 고관절의 중심선보다 후방에 위치시켜 무게 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부하 량을 줄이는 등의 보상기전을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장시간 보행 후 고관절 신전 근육들이 부하를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피로해지는 경우 골반은 후방 경사를 이루지 못하고, 전방으로 경사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 요부 변성 후만증의 역동적 시상면 변형이라 할 수 있다. 요부 변성 후만증이 오래되어 이러한 현상이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배부 근육이 변성되었던 것과 유사하게 고관절 신전 근육 역시 변성 및 약화가 유발되어 골반의 전방 회전이 고착될 수 있다.


  보행 분석 검사를 통해 측정된 골반 경사각을 통해 볼때, 보행 후 전방 경사가 심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보행 전 후방 경사가 심했던 환자일수록 보행 후 전방 경사가 많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요추부의 후만 변형이 클수록 기립 시에 골반의 후방 경사를 크게하여 상체의 기울어짐을 보상하고 있다가, 큰 후방 경사를 만들기 위해 강하게 수축하고 있던 골반 신전 근육이 보행하는 동안 쉽게 피로해지고, 중-장거리 보행으로 이 상태가 지속되면 골반 신전 근육은 결국 작용을 못하게되어 골반의 전방 회전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보행 선형 지수로 확인 할 수 있는 환자들의 보행 형태는 활보장이 줄어들기 때문에 보행 속도가 줄어들며, 유각기에 비해 입각기가 길어지고, 입각기 중에서도 양 하지 지지기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역학적으로 불리한 시상면 상의 형태로 인해 근육의 피로를 줄이기 위한 보상 기전으로 생각되고 있다.


  활보장이 줄어드는 이유는 환자의 횡단면 상의 골반 움직임이 극소화된 것이 중요한 이유가 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인체는 보행 동안 횡단면 상에서 골반이 약 10도 내회전-외회전 하면서 보폭을 늘리게 되는데, 요부 변성 후만증으로 시상면 상에서 신전 근육으로 강하게 고정된 골반은 시상면뿐만 아니라 다른 평면 상에서도 운동이 극도로 제한되게 된다.


  관상면 상에서도 골반의 상하 움직임은 거의 0도(정상 7도)에 가까워 지는데, 이것도 양측 중둔근이 동시에 강하게 수축하여 골반을 고정하기 때문으로, 이처럼 상하 운동이 제한되는 경우 보행 도중 하지의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 간의 효과적인 전환이 일어 날 수 없게 된다.


 

 

 

 

 

Chest x-ray, Kyphosis

 

 

Spinal Degeneration

 

 

Spinal Degeneration from Jay Davidson on Vimeo.

 

 

 

 

                             국내유일의 정통추나교육학회입니다. 031-746-2011

 

                              대한수기물리치료학회 

                                              (http://cafe.daum.net/iptti

 

 

 

출처 : 대한수기물리치료학회
글쓴이 : 한울타리(고정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