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질환

[스크랩] 견관절 탈구(Shoulder Disllcation)

한 울 타 리 2012. 11. 14. 16:29

견관절 탈구(Shoulder Disllcation)

 

견관절은 인대, 관절낭 및 활액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부조직의 통증과 장애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관절이다.

견관절은 7개의 관절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관절들은 견관절의 정상적인 기능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과 동시에 통증과 장애를 유발하는 병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견갑대는 다음과 같은 관절들로 구성되어 있다.

1. 관절와상완골 관절(Glenohumeral)

2. 상완골상부 관절(Suprahumeral)

3. 견봉쇄골 관절(Acromioclavicular)

4. 쇄골흉골 관절(Claviculosternal)

5. 견갑골 늑골관절(Scapolocostal)

6. 흉골늑골 관절(Sternocostal)

7. 늑골척추관절(Costovertebral)

8. 이두상완골 관절(Bicipital-humeral)

위의 관절들은 상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손이 기능적인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상완골상부 관절(Suprahumeral)                              3. 견봉쇄골관절(Acromioclavicular)

 

                   

       

 

4. 쇄골흉골 관절(Claviculosternal)                                         5. 견갑골 늑골관절(Scapolocostal)

                             

 

                      

                                                      6. 흉골늑골 관절(Sternocostal)

                                                                         

                     

    

 

            7. 늑골척추관절(Costovertebral)                                  8.  Bicipital groove

 

                                                       1. 관절와상완골 관절(Glenohumeral)

                                                                              

  관절와상완골 관절(Glenohumeral Joint)

  관절와상완골관절은 가장 중요한 복합체 관절인 동시에 가장 많은 통증과 장애를 유발하는 관절이다.

이 관절은 축 주위를 단순히 회전(rotation)하는 관절이 아니라 활주(gliding)와 스핀운동(spinning motion)을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적 불일치 관절(incongruous articulation)이다.

그러므로 관절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변 연부조직의 지지가 요구된다.

 

                                                 shoulder gliding

 

  관절의 기저부는 견갑골의 외측단에 위치한 오목한 관절와(glenoid fossa)로 구성되어 있다.

관절와는 깊이가 얕아서 상완 골두를 완전히 감싸지 못하는데,

관절와상완골 관절낭이 부착되는 견갑골관절순(glenoid labrum)이 돌출되어 관절와를 조금 깊게 함으로써

상완골두를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견갑골관절순(glenoid labrum)

 

  상완골두가 중력에 대항하여 관절와 내 위치하는데는 극상근(supraspinatus) 등의 근육의 작용이 가장 중요하며,

그 밖의 관절와의 각도와 관절낭 상부의 해부학적 구조 등도 어느 정도 관여한다.

특히 극상근은 견갑골의 극상근와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의 대결절에 부착되어 상완골이 하부로 아탈구되는 것을 방지한다.

 

                                                     glenoid fossa angle

Figure 1. Definition of angles on conventional radiographs. The glenoid fossa line (AB) is defined as a line connecting the uppermost point (A) and the lowermost point (B) of the glenoid. Angle α is the angle between the spine of the scapula (a) and glenoid fossa line (AB). Angle β is the angle between the floor of the supraspinatus fossa (b) and the glenoid fossa line (AB). Angle γ is the angle between the lateral margin of the scapula (c) and the glenoid fossa line (AB). The distance from the medial border of the radiograph and the center of the glenoid fossa line (AB) is m1. The angle between the scapular spine (a) and the medial border of the radiograph is φ.

 

  관절와상완골 관절의 운동은 회선건개 근육들(rotaror cuff muscles)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회선건개 근육은 이들이 관절와 내에서 상완골두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상지운동들은 관절와상완골 관절의 적절한 운동이 있어야 가능하다.

 

                                          회선건개 근육들(rotaror cuff muscles)

 

  팔의 운동은 견관절 복합체를 구성하는 모든 관절의 운동이 동반되어야 가능하다.

상완골이 외전하면 90도 각도에서 상완골의 대결절과 견봉이 부딪히게 되어 더 이상의 외전운동이 불가능하지만,

이 상태에서 상완골을 외회전하면 대결절은 견봉을 통과하여 완전한 외전운동 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팔을 머리위로 올린 자세에서 운동을 수행시, 먼저 견갑골이 팔을 지탱하고,

흉곽부를 중심으로 견갑골이 점점 회전하여 견봉이 위로 들어 올려져야지만 큰 운동 범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견갑골의 운동서 견봉쇄골 관절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과 흉골쇄골 관절을 중심으로 한 쇄골부의 회전운동이 요구된다.

 

  견관절 운동이 시작되는 초기에 근육의 활동은 조화롭게 조절되고 있다.

즉, 극상근은 등척성 수축을 통하여 상완골이 관절와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으며,

삼각근(diltoid)은 단지 근긴장성만 유지하고 있고,

견갑골은 견갑골쇄골 인대와 승모근(trapezius) 및 전거상근( serratus anterior)의 등척성 수축을 통하여

수동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운동이 시작될 때,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이 수축하면 점진적인 외전 및 전방굴곡이 시작되며,

어느 정도의 각도에 도달하면 삼각근의 수축이 시작되고 원하는 방향의 운동이 증가된다.

초기에 견갑골은 등장성 수축을 유지하고 있으나,

외전 또는 전방굴곡이 진행될 수록 견갑골은 등척성 수축을 시작하고, 견봉쇄골 관절 주위로 점점 더 움직인다.

 

  외전운동시 극상근, 극하근 및 소원근의 동시작용에 의해 상완골이 외회전하고

그 결과 대결절은 견봉 아래 위치하게 된다.

이 때, 견관절 내전근인 견갑하근, 흉근 및 광배근은 수축하지 않는다.

상지의 능동적인 외전과 전방 운동시에 이두근 건은 이두근 골짜기 내에서 능동적인 운동 없이

수동적으로 상완골두를 내리누름으로써 상완골두가 관절와내에서 하강하도록 한다.

관절와상완 관절의 비정상적인 운동이 있을 때, 이두근 건에 염증이 발생하여 통증이 유발된다.

 

  관절와상완골 관절낭은 견갑골 관절낭에서 기시하여 상완골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데,

팔을 떨어뜨린채 서있을 때 하방운동을 제한한다.

외전 및 전방 굴곡시에 하부 주름은 신장되고, 상부 주름은 수축된다.

정상 견관절 작용은 견갑골상완골 리듬을 보여주는 조절된 그리고 조화로운 신경근 작용이며,

이는 회선건개 근육들의 무통성 동시 작용의 결과를 기인한다.

관절낭은 유동적이고 온전하여야 하며, 활액낭의 벽은 충분한 윤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관절의 연골표면은 관절 운동을 적절히 유지하도록 해 주어야 하는데,

만약 이러한 기능이 적절히 유지되지 못하면 통증 및 기능 상실이 초래된다.

기능상실과 통증은 부적절한 신경근골격계 기능과 동반되어 발생하며,

또한 과다한 활동과 외부의 충격으로 반복적인 손상과 마멸이 유발된다.

관절와상완골 관절 대부분의 조직들이 외상수용성이고 비교적 좁은 공간에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원활한 운동을 위해서 삼각근하 활액낭 및 활액을 가진 관절낭 등에 의한 윤활작용이 필수적이다.

한편, 회선건개 근육과 삼각근의 안쪽 부위를 골섬유(osteofibrous)라 부르는데,

이는 근막과 느슨한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골섬유 내에서는 항상 잦은 움직임이 일어나는데 이 부위에 염증이 생기면 동결견이 발생한다.

 

                                                  어깨주변의 활액낭(Bursa)

 

견관절 탈구(Shoulder Dislocation)

 

                견관절탈구 Kocher 수기법2

                   견관절탈구 Kocher 수기법1

 

  견관절 탈구는 극심한 통증과 장애를 유발한다. 네 가지 유형의 탈구가 보고되나, 전방탈구가 대부분이다.

견관절 탈구를 정복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Kocher수기법이다.

관절 탈구 시에는 가능한 빨리 탈구 정복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늦어지면 근육경련등으로 정복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상적인 어깨관절 X-ray 앞면                      정상적인 어깨관절 X-ray 뒷면

 

 

                                           견관절 탈구(Shoulder Dislocation)

 

  어깨관절은 신체 관절 중 재발 탈구가 가장 많은 관절로 갑자기 손을 잡아당기거나 넘어졌을 때

어깨관절이 충격을 받아 상완골 골두가 탈구되는 것으로 이는 관절낭이 이완되거나 찢어지면서 발행된다.

탈골 시 어깨를 전혀 쓸 수 없어도 일단 맞추어지고 나면 잘 움직이며 2~3주간 동안 고정해서

손상된 관절막을 안정시켜 주어야 한다.

 

  탈구된 뼈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촉진하는데, 양쪽 어깨를 비교하면서 변형, 찰과상, 부종을 확인한다.

이때 혈관과 신경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맥박과 손, 손가락의 감각과 근력을 함께 검사한다.

또한 탈구 이외에 다른 원인이 있는지 진단하기 위하여 X-ray검사가 동반되어야 하며,

필요시 MRI검사로 구체적 진단이 필요할 수 있다.

 

                                                 견관절탈구 동영상

 

 

                               견관절탈구 X-ray 동영상

 

 

 

다양한 매뉴얼 도수치료와 척추교정교육

-6분류24종96가지메뉴얼수기법-

국내유일의 정통추나교육학회입니다. 031-746-2011

 

대한물리치료사협회연구회

대한수기물리치료학회 

(http://cafe.daum.net/iptti , http://www.iptti.com)

출처 : 대한수기물리치료학회
글쓴이 : 한울타리(고정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