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상완신경총 마비(brachial plexus injuries) 상완신경총 마비(brachial plexus injuries)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 해부학 1. 정의 상완신경총 손상은 분만시에 머리는 나오고 몸이 산도에 걸린 상태에서 고개가 과신전되어 경추 신경근과 신경들이 견인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마비된 신경근의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2. 증상 손상된 부위에 .. 질환별 도수치료학 2011.02.16
[스크랩] 흉곽출구 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흉곽출구 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손이나 팔의 통증, 무감각, 저린감, 붓거나 피로감, 냉감 (冷感), 근력 약화, 레이노현상, 손톱 출혈이나 손끝 궤양, 변색 등 여러 증상을 나타내는 진단이 비교적 어려운 질환이다. 이러한 증상은 목디스크, 팔목터널증후군, 상박신경총증후군, 회전근개증후군, 어.. 질환별 도수치료학 2011.02.16
[스크랩] 정통추나편 - 9. 좌위요반법(坐位搖 扳法) 9. 좌위요반법(坐位搖扳法) : 환자좌위에서 양 하지를 앞으로 신전하고, 허리를 약간 굴곡하여, 척추기립근을 완전히 이완시킨다. 치료사는 한 손으로 환자의 턱과 볼을 받쳐주고, 한 손의 모지로 돌출된 극돌기를 접촉한다. 연후에 환자의 두경부를 조금씩 회전하며 경추의 굴신각도를 조정하.. 질환별 도수치료학 2010.11.14
[스크랩] 정통추나 - 8. 와위측굴선전반법(臥位側屈旋轉 扳法) 8. 와위측굴선전반법(臥位側屈旋轉扳法) : 환자앙와위. 치료사는 양 손으로 아래턱과 후두부를 감싸잡고 후상방으로 견인한다, 견인한 상태에서 환자의 경추를 측굴하고 반대편으로 약45도 회전시킨다, 탄성의 끝선까지 가면, 경추를 복위할 수 있도록 상,하로 떨어주면서, 순간적으로 반법을 .. 질환별 도수치료학 2010.11.14
[스크랩] 정통추나 - 7. 와위사반법(臥位斜 扳法) 7. 와위사반법(臥位斜扳法) : 환자앙와위. 치료사는 양 손으로 아래턱과 후두부를 감싸잡은 후, 두부를 받혀 경추가 약간 전굴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상방으로 견인한다; 연후에 견인력을 유지하며 환자의 두부를 극돌기가 돌출된 곳으로 회전시켜, 탄성의 끝지점에 도달하면 순간적으로 반법.. 질환별 도수치료학 2010.11.14
[스크랩] 6. 좌위사반법(坐位斜 扳法) - 정통추나 6. 좌위사반법(坐位斜扳法) 환자좌위, 목을 약간 숙여 경부근육을 이완시킨다. 치료사의 한 손은 환자의 턱을 받쳐주고, 다른 손은 침부(뒷머리)를 잡은 후, 두경부를 회전이 가능한 지점까지 회전시켜 준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반법으로 교정을 한다. 반법시 최대의 회전폭은 3도~5도이다. 본 법.. 질환별 도수치료학 2010.11.14
[스크랩] 5.와위측굴견인반법(臥位側屈牽引 扳法) 5.와위측굴견인반법(臥位側屈牽引扳法) 환자앙와. 시술자는 두부위쪽에 위치하고, 양손을 벌려서, 모지를 위로 향해 환자의 하악골을 잡고, 다른 손가락은 아래를 향하여 환자의 침부(枕部:뒷머리)를 감싸 잡으며, 경추를 잠시 잡아당긴다. 연후에 견인력을 유지하며 경추극돌기가 돌출된 방향.. 질환별 도수치료학 2010.11.04
[스크랩] 2. 측굴전근반경(側屈展筋 扳頸) 2. 측굴전근반경(側屈展筋扳頸) : 환자좌위. 시술자후측면에 위치하고, 한 손은 환자의 흉부전면에서부터 두부를 감싸서 잡고, 한 손은 환자의 반대편 어깨측면을 잡아서, 양손을 협동적으로 힘을 가하여, 천천히 경추를 최대한 측굴 한 후에 복위시킨다. 반복조작 3~5회. 본법은 경련적측부근육.. 질환별 도수치료학 2010.11.03
[스크랩] 一, 경추반법(반경: 扳頸) : 1. 전굴전근반경(前屈展筋 扳頸) 1. 전굴전근반경(前屈展筋扳頸) 1. 전굴전근반경(前屈展筋扳頸) : 환자앙와위. 시술자는 머리위에 서서, 양팔을 십자로 교차하여 환자의 침부를 받치고, 양 손으로 환자의 어깨를 눌러주어 지랫대원리를 이용하여 팔을 앞으로 세워준다. 환자의 경추를 서서히 끝지점까지 전굴시켜준 후 .. 질환별 도수치료학 2010.11.03
[스크랩] 추반류수법(推 扳類手法) 제 10절 추반류수법(推扳類手法) : 추반관절류수법은 손가락을 이용하여 반대방향으로 힘을 작용시켜서 병변관절을 특정방향으로 강제성운동작용을 하고, 병리 혹 생리적으로 제한된 위치나 분리점연된곳을 돌파하고, 바른 골격복위를 목적으로 조작하는 것이다(그림66). 한 동작에 통상적으로 .. 질환별 도수치료학 2010.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