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별 도수치료학

[스크랩] 정통추나치료 - 경추수핵탈출증(cervical herniated nucleus pulpususdisc):디스크

한 울 타 리 2009. 11. 5. 13:04

경추수핵탈출증(cervical herniated nucleus pulpususdisc):디스크

 

 경추 동영상

**동영상이나 그림이 보이지 않는 게시판은

학회카페(http://cafe.daum.net/iptti) 검사및측정동영상란에

오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목 디스크의 일반상식


목뼈의 해부학적 구조를 보면 목뼈는 7개이며 크기가 허리뼈의 50%정도 밖에 안되어

외부 압력을 견딜수 있는 능력이 허리뼈의 25% 정도이다.

척추뼈들은 디스크와 추간관절이라는 작은 두개의 관절에 의해

다음 척추뼈와 연결되어 있다.

 

 

척추사이의 디스크는 운동이나 무게를 견디어 낼 수 있는

비교적 압축이 안되는 겔(gel)로 이루어저 있고

바깥쪽으로는 강인한 섬유테(섬유륜)로 싸여 있어서

척추뼈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대한 쿠션이나 충격 흡수장치 역활을 하며

다음 척추를 고정하는 강력한 결합조직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목디스크는 목뼈(경추)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해주는

추간판(디스크)의 일부 또는 척추뼈에서 생긴 골극(노화된 디스크가 납작해진 후

뼈끝이 가시처럼 돋아난 부분)이 양쪽 어깨나 팔, 손으로 가는 신경을 눌러

통증을 일으키게 되는 질환이다.


디스크가 생기는 가장 큰 원인은 우리의 일상생활 자체라고 할 수 있다.

고개를 앞으로만 숙이는 편향된 생활은 목, 어깨 근육을 긴장시켜

목, 어깨의 통증, 만성피로, 두통 등을 유발하고 목뼈의 정상 만곡은 변형되어

앞 쪽으로 꺾이게 된다.


편향되고 반복적인 고개 숙이기가 계속되면 언젠가는 디스크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경미한 교통사고에도 쉽게 나타나며

장시간 고개를 앞으로 숙여야 하는 학생과 직장인들,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가사일을 돌보는 주부등에서도 쉽게 나타날 수 있으며

높은 베개를 베고 잔 날 아침에 목 디스크 증상이 찾아올 수 있다.


보통 목디스크 질환이 잘 생기는 곳은 4-5번 경추와 6-7번 경추이지만

드물게는 5-6번이나 7번 경추-1번 흉추 사이에서도 발생한다.

목디스크가 오면 어꺠, 팔, 손가락 등이 저리고 아픈데,

그것은 목의 아래쪽에 있는 네 쌍의 신경근이 경추에서 빠져나와

어깨, 팔, 손가락으로 가기 때문이다.


정상인 디스크의 수분함량은 약 88%이고 노화에 따라 65세에서는

약 65%정도로 수분이 손실되고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이라는

물질이 분해되어서 디스크를 싸고 있는 막은 긴장되고 섬유가 찢어져서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인 수핵이 빠져 나올 수 있다.

증상은 뒷목 및 어깨 상부의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병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어깨와 팔의 통증이나 약화가 발생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 척수에 손상을 줘서 다리의 힘이 약해지거나 마비가 발생하기도 한다.


진단은 환자가 증상을 호소하면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고

단순 엑스레이(X-ray)를 촬영하며, 의심이 되면 전산화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검사(MRI)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우리 물리추나학에서는 위 검사를 기본적으로 참고하여 이학적검사를 실시한다. 

 

경추디스크동영상(3D Medical Animation: Cervical Spine & Disc Anatomy)

 

 

 

**동영상이나 그림이 보이지 않는 게시판은

학회카페(http://cafe.daum.net/iptti) 검사및측정동영상란에

오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물리추나치료


디스크 탈출의 단계

디스크 변성( degeneration ) :

나이증가에 따른 화학적 변화로 디스크가 약해져 있는 상태지만 디스크 돌출은 없는 상태

디스크 돌출( prolapse ) :

디스크의 형태나 위치가 척추강내로 꼬이게 되는 변화 , bulging이나 protrusion이라고도 한다.

디스크 파열( extrusion ):

젤같은 수핵이 섬유륜을 파괴하지만 아직은 디스크내에 존재

부골화(腐骨化 : sequestration)

수핵이 섬유륜을 파괴하고 디스크 밖으로 나와 척추강내 존재


이학적검사 (학회카페 이학적검사 동영상란에 오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 * 견인검사(distraction test) - 경추견인으로 통증이 감소되는 효과를 입증하는 검사로

             서 신경근 압박의 원인인 추간공을 넓힘으로 통증을 감소시킨다. 또한 수축된

             근육을 이완시켜서 근육의 경축(spasm)을 경감시키며, 추간관절 주위의 관절

             낭의 압력을 감소시켜서 통증을 감소시킨다.

 

    * 압박검사(compression test) - 추간공의 협착, 추간관절의 압력, 근육경련은 압박에

             의해 통증이 증가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압박검사는 경추로부터 상지

             에 관련통을 재현해 볼 수 있고 그 통증이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신경학적 레

             벨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검사는 환자가 않은 상태에서 머리상부에서 하부

             로 압력을 가한다.


    * 발살바검사(Valsalva test) - 이 검사는 척수내압(intrathecal pressure)을 증가시키

             는 검사로서 추간판탈출증이나 종양같은 질병이 경추관 내에 있다면 압력이

            증가하여 2차적으로 동통이 발생한다. 또 경추병변의 신경학적 레벨에 일치하

            는 피부절 분포에 따라 방사될 것이다. 검사는 환자에게 화장실에서 힘쓸 때처

            럼 숨을 들이쉬고 아랫배에 힘을 주도록 한다. 그 다음 어떤 통증이 증가되는

            가 물어보고 그 위치가 어디쯤인지 확인하도록 한다.


     * 연하검사(swallowing test) - 삼키기가 어렵거나 삼킬 때의 동통은 뼈의 돌출, 벼의

            골증식체(osteophytes)와 같은 경추 자체의 병변, 또는 경추 전방부의 혈종,

            감염, 종양으로 인한 연부조직의 종창 등이 원인이 된다.

 

     * 에드손검사(Adson test) - 이 검사는 쇄골하동맥(subclavian artery)의 상태를 결정

            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동맥이 경륵(cervical rib)과 긴장된 사각근(scalenus

            muscle) 사이를 통과할 때 동맥이 압박되는 경우를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된다.

            검사방법은 환자의 손목에서 동맥의 맥을 잡고 환자의 팔을 외전, 신전, 외회

            전시키면서 계속 맥박을 느껴본다. 그 다음 환자에게 검사하는 팔쪽으로 얼굴

            을 돌리고 턱을 쇄골에 닿도록 지시한다. 만일 쇄골하 동맥이 압박되어 있다면

            검사자는 요골동맥의 맥박이 현저하게 감소되거나 뛰지 않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관련부위의 관련통 검사

  : 많은 경우에 있어서 경추의 병변은 상지의 관련통을 일으키며,

측두 하악관절의 병변과 치아와 머리에 관련통을 일으킬 수 있다.


검사목적

 : 해부학적 구조상태 확인,

  연부조직의 정상상태 확인

  관절운동의 정상상태 확인

  통증의 원인을 분석


수기치료 - 치료전에 통증부위와 운동제한 방향과 각도를 반듯이 환자에게 확인시키고,

           치료후에 통증감소 및 개선효과를 비교해 준다.


물리추나의 수기치료는 정통추나에 물리치료의 운동치료를 접목하여 독특한 수기법을

형성하고 있습니만, 오늘 수기치료는 중국에서 추나학을 전공하고 돌아온 이수진선생님의

경추추나치료 번역을 올려봅니다.

 

<경추병> - 이수진 번역.


1. 환자를 앉힌후, 의사는 측면에 서고 환자는 앞으로 조금 구부린다.

의사는 한손으로 머리를 떠받치고, 다른 한손의 엄지로 경부인대를 3-5회 문지른다.(밀어 움직인다.)

아래로 내려가며 통증점이 발견되면 눌러주고, 그 후 大椎穴(대추혈)과 風池穴(풍지혈)을 눌러준다.

  

 

2. 경부양측근육을 문지르고 밀어준다. 통증이 심한 부분 옆에는 꼬인 실이 있는 듯한 느낌이 들고 그 굳어 엉킨 곳을 누르고 문지르어 양쪽 다 풀어준다.

 

3. 손가락으로 1-5 흉추 양측의 骶棘肌와 능형근을 문지르고, 쑤시는 통증점을 눌러주고, 어깨의 肩中穴(견중혈), 肩外穴(견외혈), 天宗穴(천종혈)을 눌러준다.

 

 

4. 아픈쪽 팔을 잡고 상완삼두근과 상완이두근 위주로 문질러준다. 그 후 손으로 겨드랑이 아래 상완신경총 부분을 가로로 밀어주어 환자의 손에 마비증상이 나타나는지 본다. 그 후 압력을 주어 小海穴(소해혈)과 曲池穴(곡지혈)을 눌러준다.

 

5. 의사는 한 손을 환자의 손목에 놓고 다른손의 시지와 중지,우명지를 이용하여 끝쪽으로 手指?拉法을 시행한다.

 

 

 6. 동시에 손가락 관절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그 후 손가락 끝으로 문지르고 비빈다.

 

7. 의사는 ?抖를 환측상지에 2-3회 시행하고, 마지막으로 어깨, 배부와 상지를 손바닥으로 때려준다. 사용시 환자는 가볍고 빠른듯한 느낌을 받도록 한다.

 

 

 

 

 

 

8. 각 형태의 특정한 수법

 

(1) 신경근성 경추병; 경추측 측반법 사용. 경추가 잘못된 것에 따라 반동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두가지 반법은 환자의 체형에 맞춰, 경추의 잘못된 정도와 병변의 위치에 따라 환자가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돌리고 측반법 또는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누르고 측반법을 구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앉은 자세 또는 누운자세에서 견인 할 수 있다. 견인은 경추간 좁은 틈을 크게 만들 수 있다.

 

(2) 추동맥성 경추병

소어제곤유를 이용하여 목 양쪽에 시행한다. 그 후 따뜻하게 하기 위해 손바닥을 후면에 댄다. 쑤시는 통증을 감하기 위하여 양쪽 간수혈을 누르고 문지른다. 환자는 누운상태로 있고 의사가 모지 또는 여러 손가락을 이용하여 백회,인당, 청명혈을 문지른다. 그 후 내관, 공최혈을 누른다.

 

(3) 골수성 척추병; 치료효과가 좋지 않다. 그래도 많은 종류의 치료방법을 쓸 수 있고, 안마를 할 때는 조심해서 사용한다.

 

               번역; 물리치료사, 국제추나사 이수진

 

 

 


국내유일의 정통추나교육학회입니다. 031-746-2011, 010-5167-4439

(국제물리추나사 12월교육모집중. 카페세미나강좌란 참고)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1244번지 2층

대한수기치료학회(국제물리추나학회) 

(http://cafe.daum.net/iptti , http://www.iptti.com)


출처 : 국제물리추나학회
글쓴이 : 한울타리(고정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