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무릎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동영상
**동영상이나 그림이 보이지 않는 게시판은
학회카페(http://cafe.daum.net/iptti) 질환별물리추나치료학란에
오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무릎의 통증을 일으킬수 있는 원인은 다양하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통증에서 벗어 날수 있다.
퇴행성관절염은 인간이 겪어야만 하는 가장 고통스러운 질환의 하나로서
특히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은 많은 사람들에게 통증과 보행에 지장을 초래하여
일상생활에 장애를 준다.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다.
이 병의 원인은 대개는 분명치 않으며
무릎관절의 손상, 과도한 사용, 체중 증가 등으로
퇴행성 관절염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인자가 될 수 있다.
관절 내 연골은 무릎 관절이 효과적으로 미끄러지게 하는 일과
힘의 집중적인 스트레스를 예방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연골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화되거나
관절면에 과도한 힘이 집중되고 오랫동안 너무 많이 사용하게 되면
연골이 닳게되고 관절 주위의 근육이 약해져서 무릎운동 장애를 일으킨다.
이러한 관절염은 특별한 기질적 원인 없이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특정 관절 부위 등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일차성 또는 특발성 관절염과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외상, 질병 및 기형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또는 속발성 관절염으로 분류한다.
원인은 부위별로도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일 수 있는데,
척추의 경우는 직업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이나 생활습관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엉덩이 관절에 있어서는 무혈성 괴사와 엉덩이 관절 이형성증이 많은 원인을 차지하며,
발목 관절의 경우 발목 관절의 골절 또는 주변 인대의 손상이
퇴행성 관절염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 된다.
대부분 고령에서 질환이 발생하고,
노화와 연관된 변화가 퇴행성 관절염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기는 하나
다른 능동적 요소가 있는 만큼 노화 자체가 원인은 아니다.
가장 흔하고 초기에 호소하는 증상은
관절염이 발생한 관절 부위의 국소적인 통증이며
대개 전신적인 증상은 없는 것이 류마티스 관절염과의 차이점 중 하나이다.
통증은 초기에는 해당 관절을 움직일 때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다가
병이 진행되면 움직임 여부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관절 운동 범위의 감소, 종창(부종), 관절 주위의 압통이 나타나며
관절 연골의 소실과 변성에 의해 관절면이 불규칙해지면
관절 운동 시 마찰음이 느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증상들은 일반적으로 서서히 진행되며
간혹 증상이 좋아졌다가 나빠지는 간헐적인 경과를 보이기도 한다.
관절염이 생긴 부위에 따라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기도 하여
무릎 관절에 발생할 경우 관절 모양의 변형과 함께 걸음걸이에 이상을 보일 수 있고,
손가락 관절염의 경우 손가락 끝 마디에 헤버딘 결절이라 불리는
골극(가시같은 모양으로 덧자라난 뼈)이 형성되기도 한다.
물리추나학에서 진단은 이학적 검사 및 방사선 소견에서 보이는
관절의 여러 가지 변화와 퇴행성 관절염의 특징적인 소견을 종합함으로써
진단이 가능하다.
치료로서는 약물요법, 물리치료 및 불가피한 경우 수술 등을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진통소염제 등의 약물을 오래 복용하면 위장장애를 일으켜
약도 먹지 못 하게 되어 고생하는 경우도 많다.
가끔 관절 내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것은 진통에 효과가 있으나
자주 투여시 연 골의 파괴 및 유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1년에 3회 미만으로 매우 엄격히 제한 해야 한다.
무릎관절의 마모와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는것은
무릎 관절을 안정시키는 인대가 약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인대를 강화시키는 것이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되므로
이를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은 아직 없다.
따라서 본 질환의 치료 목적도 환자로 하여금 질병의 성질을 이해하도록 하여
정신적인 안정을 마련해 주면서, 통증을 경감시켜 주고,
관절의 기능을 유지시키며, 변형을 방지하는데 있다고 하겠다.
관절염의 증상을 더 악화시키지 않으려면
첫째 비만이 체중 부하 관절의 퇴행성 관절염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특히 무릎 관절 부위의 유병률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므로
체중 감량이 퇴행성 관절염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지팡이 등의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주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무리한 동작의 반복, 좋지 않은 자세 등이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무리한 운동은 관절에 좋지 않지만 적당한 운동으로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 운동 범위를 유지하는 것은 관절염 예방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식이 요법이나 약물 요법을 통한 퇴행성관절염의 예방은
현재까지 확실히 검증된 방법이 없으므로 이와 같은 방법에 의존하는 것은 좋지 않다.
무릎퇴행성관절염(knee osteoarthritis) 동영상
**동영상이나 그림이 보이지 않는 게시판은
학회카페(http://cafe.daum.net/iptti) 질환별물리추나치료학란에
오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물리추나치료
이학적검사
: 학회카페 검사 및 측정, 이학적검사란에 오시면 동영상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슬관절 이학적검사
1. 에플리 압박검사(Apley's compression test)
2. 멕머레이 검사(McMurray's test)
: 내측, 외측 반월판 연골 검사
3. 전방전위 검사(anterior drawer test)
: 전방십자인대 손상 검사.
4. 라크만 검사(Lachman's test)
: 전방십자인대 파열검사
5. N (Nakajima's test)
: 이 검사는 전방 십자인대 손상의 대표적인 검사법이다.
6. 축 이동 검사(pivot shift test)
: 전방십자인대 손상 검사
7. 후방 전위 검사(posterior drawer test)
: 후방십자인대 손상 검사
8. 새깅 검사(sagging test, gravity drawer test)
: 후방십자인대 손상 검사
9. 애플리 견인 검사(Apley's traction test)
: 내,외측 측부인대 손상 검사.
10. 외반 압박 검사(abduction stress test)
: 내측 측부인대 손상 검사
11. 내반 압박 검사(adduction stress test)
: 외측 측부인대 손상 검사
12. 슬개골 압박 검사(patella griding test)
: 슬개 대퇴 관절염, 슬개골 연골 연화증 검사.
13. 슬개골 불안감 검사(patella apprehension test)
: 습관성 슬개골 탈구의 기왕성 검사
14. 슬개골 부동 검사(patella floating test)
: 관절내 삼출액 증가 검사
15. 바운드 홈 검사(bounce home test)
: 원판상 연골 검사
수기치료
1. 무릎주변 치료
* 곤법(滾法)으로대퇴사두근(Quadriceps)과 대퇴뒷근육(Hamstrings)등을 이완.
* 나법(拿法)으로 비복근(Gastrocnemius),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등을 이완.
그림1) - 곤법1 그림2) - 곤법 2
그림3) - 곤법3
2. 경혈점과 압통점 치료
* 일지선퇴법(一指禪堆法)으로 독비혈(犢鼻穴), 외슬안(外膝眼), 내슬안(內膝眼),
학정혈(鶴頂穴), 위중혈(委中穴), 위양혈(委陽穴)등을 취혈한다.
그림4) 일지선퇴법
* 안유법(按揉法)으로 양릉천, 음릉천, 족삼리, 승산, 비양혈등을 취혈한다.
* 안법(按法)으로 압통점을 취혈하여 통증을 감소시킨다.
3. 탄발법(彈發法)으로 슬개인대와 무릎뒤 외측의 대퇴이두근건(biceps femoris tendon)과
내측의 반건양근건(semitendinosis tendon)과 반막양근건(Semimembranosus Tendon)
을 취혈한다.
4. 요법(搖法)운동치료
: 환자를 앙와위자세에서 고관절과 슬관절을 90도 굴곡시킨 후에 슬관절을 내회전, 외회전하며 요법(搖法)을 시행한다. 다음에 환자 복와위자세에서 슬관절을 90도 굴곡시켜서 발목을 양손으로 잡고 조금 들어올리면서 내,외회전으로 요법을 시행한다. 이때 대퇴부가 들리지 않도록 치료사의 하지를 환자의 대퇴부에 올려서 시술해도 좋다.
그림5) 고관절 요법
5. 채교법(踩蹺法)으로 하지 전체를 밟아준다.
그림6) 채교법
6. 반법(扳法)으로 아탈구된 슬관절을 교정시킨다.
그림7) 반법
국내유일의 정통추나교육학회입니다. 031-746-2011, 010-5167-4439
(국제물리추나사 12월교육모집중. 카페세미나강좌란 참고)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1244번지 2층
대한수기치료학회(국제물리추나학회)
(http://cafe.daum.net/iptti , http://www.iptti.com)
'질환별 도수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추반류수법(推 扳類手法) (0) | 2010.11.03 |
---|---|
[스크랩] 정통추나를 번역하며...... (0) | 2010.11.03 |
[스크랩] 정통추나치료 - 추간판탈출증 [椎間板─, hernia of intervertebral discs] (0) | 2009.11.07 |
[스크랩] 정통추나치료 - 경추수핵탈출증(cervical herniated nucleus pulpususdisc):디스크 (0) | 2009.11.05 |
[스크랩] 상완이두근장건 활탈(肱二頭筋長腱 滑脫) - 국제물리추나 외과학 (0) | 2009.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