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판탈출증 [椎間板─, hernia of intervertebral discs]
3D Medical Animation Cervical Spine amp Disc Anatomy 동영상
추간판탈출증의 일반적 상식
흔히 말하는 디스크라는 질환은 추간판탈출증의 다른 이름이다.
척추 뼈마디 사이에서 완충제 역할을 하는 추간판(디스크)이 계속되는 압박 때문에
삐져나와 신경을 압박하면서 병증을 만든다.
추간판은 중심부의 수핵을 질긴 섬유륜이 단단히 에워싸고 있다.
나이가 들어 이 섬유륜이 약해지거나 외상으로 섬유륜이 찢어지면
그 틈으로 수핵이 새어 나와 주위의 척추신경을 압박하는데,
이를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보통 허리에서부터 엉덩이나 허벅지까지 통증이 내려오며
아프다 나아지다를 반복하다가, 어느날 허리를 숙이면서 심한 통증이 무릎 밑으로 내려와 움직이기 힘들어지게 되는 경우도 많다.
직립의 원죄’로도 불리는 이런 추간판탈출증에 대해 ‘수술해야 낫는 병’으로
여기는 이들이 많지만, 요통환자의 90% 정도는 수술 없이 좋아질 수 있다.
대부분은 초기 2∼3주 동안 증상이 심하다가 이후 대부분은 증상이 호전되기 때문에
이런 상태에서는 적절한 물리치료와 걷기 등 가벼운 운동만으로도
뚜렷한 증상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2∼3개월 동안 보존적 치료를 해도 특별한 변화가 없거나,
환자의 운동신경이나 감각장애가 분명하고,
반사신경의 문제가 드러나면 수술을 고려해보아야 한다.
특히 양쪽 다리 마비와 함께 대·소변 장애가 있다면 응급수술이 필요하다.
디스크의 주요원인을 몇가지 들어보면,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와 잘못된 자세 및 습관, 무리한 운동, 교통사고 등이 주요인이다.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는 20대부터 시작되는데,
이후 나이가 들면서 퇴행이 심화되면 수핵의 수분이 빠져나가 탄력이 없어진다.
이런 디스크가 삐져나와 신경을 누르게 된다.
디스크는 허리에 압력이 가해지는 모든 상황에서 생길 수 있다.
특히 물건을 들어올릴 때의 자세가 중요하며, 비틀리거나 비대칭적인 자세일 경우 발생 빈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디스크의 주요증상은 요통과 다리 저림 및 통증이다.
초기에는 허리가 뻐근하고 묵직하다가 점차 허리가 결리고 엉덩이까지 뻐근해진다.
이어 튀어나오거나 파열된 디스크가 척추신경을 심하게 압박하면
허벅지·종아리·발목·발바닥 심지어는 발가락 끝까지 저리고 당기거나 시린 통증이 나타난다. 삐져나온 디스크가 다리 신경을 자극하기에 하지 쪽에 집중적으로 증상이 나타난다.
허리디스크는 20~30대 젊고 건강한 사람에게서도 발병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40대 이후에는 점차 디스크의 변성이 심해지고 척추관절등의 퇴행성 병변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요통과 그로 인한 통증의 원인이 다양해지기 때문에 나이가 많은 경우에는 허리디스크 보다 다른 퇴행성 질환이 함께 올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봐야 한다.
디스크환자는 운동요법이 매우 중요한데,
척추 건강에 필요한 운동은 유연성과 근력을 길러주는 운동이다.
통증이 허용되는 한도 내에서 가볍게 허리 돌리기 같은 운동부터 시작하여
짧은 거리를 걸어보면서 유연성과 허리주변의 근육의 이완과 근력을 도울 수 있는
가벼운 운동과 스트레칭등의 동작이 필요하다.
통증이 제거 된 후에는 재발방지를 위해 걷기나 수영, 싸이클 가벼운 등산 등의 운동을 정기적으로 하여 재발을 방지하여야 한다.
급성으로 요통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몇가지 관리가 요구되는데,
첫째, 앉아있는 자세는 가급적 피해야 한다.
앉아있으면 상체의 무게를 허리가 다 받아들이기 때문에 통증을 더욱 악화기키기
때문이다. 부득이 앉아있을 때에는 시간을 최대한 줄여야 하며,
기능성의자를 이용하거나, 허리쿠션등을 이용하여 편한 자세를 취하여야 한다.
책상다리로 앉는 것도 피해야 되고, 등을 기대고 앉아서 상체의 무게를 분산시키고,
일어날 때에는 허리의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다리의 힘만으로 일어나야 한다.
급성기 때에는 누워있거나, 앉아있다가 일어날 때 허리에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매우 주의를 요하며, 이 때 잘못하면 한 순간에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타 운전이나 서있기, 걷기도 1시간 이상은 하지 말며,
앞으로 굽히는 동작도 피해야 한다.
물건을 들는 것도 금해야 하고, 벨트나 허리보조기등을 착용하여
안전을 꾀하고, 부득이 물건을 들을 때는 허리를 곳곳이 펴고 무릎을 구부려서
물건을 잡고 허리를 편 상태에서 다리만의 힘으로 물건을 드는 것이 중요하다.
척추X-ray 동영상
물리추나적 치료
현대의학에서 검사는 X선검사, CT, MRI, 척추조영술 검사등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척추의 질환을 규명하고 있다.
물리추나학에서는 이러한 장비의 검사를 참고로 하여 이학적검사를 실시해서
동일한 판단이 확정되면 수기치료에 임하고 있다.
중요한 이학적검사로는
1,극돌기 타격검사(spinal percussion: 극돌기 골절검사),
2. 하지신전거상검사(SLR: straight leg raising test: 추간판손상, 좌골신경통검사),
3. 라세그검사(Lasegue's test: 좌골신경통검사).
4. 브라가드검사(Bragard's test: 근성좌골신경통검사),
5. 양하지 거상검사(bilateral SLR test: 요천추이행부손상, 요추손상검사),
6. 대퇴신경신전검사(femoral nerve stretch test: 제2,3,4요추신경근검사),
7. 발꿈치,발끝보행검사(heel-toe walk test: 제4~5요추,제5요추~제1천추신경근검사),
8. 발살바검사(Valsalva's maneuver: 척추관내의 공간점유병변검사),
9. 밀그램검사(Milgram's test: 척추관내의 공간점유병변검사)
10. 나프지거검사(Naffziger's test: 척추관내의 공간점유병변검사),
11. 골드스웨이트검사(Gpldthwaith's test: 요추~천장관절간의 손상검사),
12. 지지전굴검사(belt test: 요추or천장관절 손상부위판단검사),
13. 나클라스검사(Nachlas' test: 요추or천장관절 손상부위판단검사),
14. 쇼버검사(Schober's test: 강직성척추염검사),
15. 페제르스타인검사(Fajersztain's test: 추간판손상검사),
16. 베히테르검사(Bechterew's test: 추간판손상검사),
17. 마이너 징후(minor's sign: 근성좌골신경통검사),
18. 보우스트링 징후(bowstring's sign: 근성신경통검사)
19. 켐프검사(Kemp's test: 추간판내,외측손상검사),등을 들 수가 있다.
물리추나수기법
- 치료전에 통증부위와 운동제한 방향과 각도를 반듯이 환자에게 확인.
1. 압통점 치료 : 치료시간은 각 수기동작별로 1분 정도 적용한다.
* 곤법(滾法)으로 치료부위와 주변의 조직을 이완시켜준다.
* 일지선퇴법으로 치료부위와 경혈점에 시술한다.
그림) 일지선퇴법
* 모지안유법을 치료부위에 적용하여 치료한다.
* 탄발법을 해당 근육과 건에 적용하여 점연되거나 수축된 조직을 이완시켜 준다.
2. 채교법(踩蹺法)으로 요추를 비롯한 척주기립근과 슬괵근(hamstring muscle)까지
이완시켜 준다.
채교법(踩蹺法) 동영상
**동영상이나 그림이 보이지 않는 게시판은
학회카페(http://cafe.daum.net/iptti) 질환별물리치료학란에
오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3. 요법(搖法)을 겸한 운동치료를 고관절과 골반,요추에 실시하여 운동범위를 확보한다.
4. 반법을 시술하여 아탈구(subluxation)된 요추를 교정한다
그림) 반법
5. 통증부위의 통증감소와 운동제한의 개선정도를 확인시켜준다.
6. 경락학설에 의한 치료
: 환조혈, 발뒤꿈치.
환조혈, 위중혈, 승근혈, 승산혈 - 다리의 뒷면 방사통
환조혈, 양릉천, 족임읍 - 다리의 측면 방사통
7. 통증부위의 통증감소와 운동제한의 개선정도를 확인시켜준다.
8. 1,2,3,4,5중 선택적 치료를 반복한다.
국내유일의 정통추나교육학회입니다. 031-746-2011, 010-5167-4439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1244번지 2층
대한수기치료학회(국제물리추나학회)
(http://cafe.daum.net/iptti , http://www.iptti.com)
'질환별 도수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통추나를 번역하며...... (0) | 2010.11.03 |
---|---|
[스크랩] 무릎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 국제물리추나학회 (0) | 2009.11.07 |
[스크랩] 정통추나치료 - 경추수핵탈출증(cervical herniated nucleus pulpususdisc):디스크 (0) | 2009.11.05 |
[스크랩] 상완이두근장건 활탈(肱二頭筋長腱 滑脫) - 국제물리추나 외과학 (0) | 2009.11.03 |
[스크랩] 정통추나치료 - 극상근 건염(tendinitisof suprasupinatus) - 국제물리추나학회 (0) | 2009.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