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근관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정의
: 수근관증후군이란 정중신경이 손목부위에서 압박되어 발생하는 손과 손가락의 저림, 통증, 감각저하, 부종, 힘의 약화 등을 나타내는 말초신경 압박 증후군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다.
수근관은 손목 앞쪽의 피부조직 밑에 손목을 이루는 뼈와 인대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작은 통로인데, 이 곳으로 9개의 힘줄과 하나의 신경이 손 쪽으로 지나간다. 수근관 증후군은 이 통로가 여러 원인으로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여기를 지나가는 정중신경(median nerve)이 손상되어 이 신경 지배 영역인 손바닥과 손가락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발생원인
: 수근관을 덮고 있는 인대가 두꺼워져 정중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원인이 비교적 잘 알려진 것들로는 수근 관절 주위의 골절이나 탈구 및 그 후유증, 감염이나 염증성 질환 또는 외상으로 인한 부종이나 건막의 증식 그리고 수근관 내에 발생한 종양 등으로 인한 눌림이 있다.
손목 부위의 골절 및 탈구로 수근관이 좁아져서 정중 신경이 눌리면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골절이 잘못 붙거나(부정유합) 및 붙지 않는(불유합) 등의 후유증으로 처음에는 증상이 없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증세를 보이는 지연성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감염이나 류마티스성 관절염 또는 통풍 등 활액막염을 초래하는 질환에서는 수근관 속에서 굴곡건 활액막이 붓거나(종창) 증식되어 정중신경을 누를 수 있게 된다. 일부 전신성 아밀로이드증(generalized amyloidosis) 등에서 특정 단백질이 손목 인대에 침착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 집안청소, 손빨래등 집안일을 많이하는 전업주부
- 비만, 당뇨병이 있거나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 여성
- 임신 중인 젊은 여성
- 컴퓨터를 다루는 직장인
- 손목뼈에 골절 경험이 있는 사람
- 류머티스관절염을 앓고 있는 환자
- 만성신부전증으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증상
: 특징적인 증상은 손목 통증과 함께, 정중신경의 지배부위인 엄지, 검지 및 중지 및 손바닥 부위의 저림 증상이 밤에 심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유발 증상이 있으면 수근관 증후군일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간혹 정중신경의 압박이 심한 경우 저림 및 감각 저하를 넘어 엄지 근육의 쇠약 및 위축이 나타나기도 한다.
증상은 통증과 감각이상 및 운동장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엄지, 검지, 중지, 손바닥 부위에서 저리고 타는 듯한 통증과 손 저림, 이상 감각을 호소한다. 통증 및 이상 감각의 성격은 불확실하고 모호한 경우도 있다. 1~2분 동안 손목을 굽히고 있을 때 해당 부위에 저림이 유발되기도 하고, 손목을 두드릴 때 동일한 증상이 유발되기도 한다. 심한 경우 잠자는 도중에도 손이 타는 듯한 통증을 느껴서 잠에서 깨고 난 후 손목을 터는 것과 같이 손과 손목을 움직이는 동작을 계속하면 통증이 가라앉는 경우도 있다(야간 통곡).
질병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엄지 쪽에 감각이 떨어져 엄지 근육의 위약(쇠약) 및 위축이 나타나기도 하며, 손의 힘이 약해지고 손목을 잘 못쓰는 것과 같은 운동마비 증세가 발생하기도 한다. 손가락 및 손바닥이 부은 것 같은 부종감을 호소하나 일반적으로 실제적으로 부어있지는 않다. 찬물에 손을 넣거나 날씨가 추우면 손끝이 유난히 시리고 저린 증상도 흔히 관찰된다.
진단
: 비슷한 증상을 호소하는 여러 질환들을 감별하여야 하므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진료 시에는 감각 이상의 정도를 파악하며, 운동 기능 약화 정도도 확인한다. 운동 기능 저하는 주로 손바닥에서 엄지 손가락 쪽 두툼한 부분(무지구)의 근육 약화나 마비로 인해 발생한다. 엄지와 소지(새끼 손가락)를 마주 대고 힘을 준 상태에서 무지구를 눌러서 근육의 약화 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이 때 정상적인 무지구 근육은 강하게 수축되어 탁구공을 누르는 듯한 느낌을 얻을 수 있지만, 수근관 증후군 환자의 경우 근육이 제대로 수축할 수 없어서 물렁거리게 된다. 무지구 근육의 위축이 심하다면 이 부위가 두툼하지 않고 움푹 들어가게 되는데 이는 정중신경의 압박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를 의미하며 수술 후에도 완전한 회복이 어려움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
Tinels Sign test
검사
: 사용되는 검사로는 신경 타진 검사, 수근 굴곡 검사, 전기적 검사 등이 있다.
신경 타진 검사(Tinels Sign test)는 정중신경이 지나가는 손목의 신경을 손가락으로 눌러보면 정중신경 지배 영역에 이상 감각이나 통증이 유발되는 검사이다.
수근 굴곡 검사(Phalen's test)는 손바닥을 안쪽으로 향하여 손목을 약 1분 동안 심하게 꺾으면 정중신경 지배 영역에 통증과 이상 감각이 나타나거나 심해지는 것이다. 이 검사는 손목을 앞으로 구부려 수근관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면 신경의 압축이 심해져서 통증을 유발하는 방법이다.
원인 및 여러 다른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단순 방사선 검사를 일반적으로 시행한다.
전기적 검사로 무지구 근육에서 근전도의 이상과 손목에서 신경전달 속도의 지연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적 검사는 비록 환자의 증세가 심할지라도 신경이 눌렸다 풀렸다 하는 초기의 가벼운 경우에는 정상으로 나올 가능성이 있다.
Phalen's test
치료
: 치료 원칙은 정중신경을 압박하는 국소 원인을 찾아 이를 제거해 주는 것이나 불행하게도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1) 비수술적 치료
: 비수술적 치료는 발병 원인이 분명하지 않고 무지구(손바닥에서 엄지 손가락 쪽 두툼한 부분) 근육의 위축도 없으면서 기타 증세가 비교적 가벼운 초기의 경우에 시도해 볼 수 있다. 무리한 손목의 사용의 금지, 손목에 부목 고정, 소염제 등을 이용한 약물치료, 수근관 내에 스테로이드 주사 등이 가능하다.
수면 중 통증이 주된 증상인 경우에는 손목을 중립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거가 용이한 부목을 대어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깨어 있는 경우에도 가벼운 통증이 있고, ‘감염에 의하지 않은 굴곡건의 활액막염’이 있는 것으로 진단되는 경우에는 소염제 등의 약물치료로 효과를 볼 수 있다.
수근관 내 스테로이드 주입으로 연부 조직의 위축을 일으켜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증세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많은 경우에 증세 완화는 일시적이며 재발되는 비율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확실한 병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데, 통증은 비교적 심하나 전기적으로 이상 소견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 임신과 같이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원인이 자연적으로 해소되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수술적 치료
: 수근관 증후군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외과적인 수술로 수근관을 넓혀주는 것이다. 수술적 치료의 대상은 종양과 같이 제거하여야 할 확실한 병리가 발견된 경우, 무지구의 위축이 분명한 경우, 전기적 검사에서 신경손상의 정도가 심하다고 나온 경우, 또는 증세가 심하지 않더라도 3~6개월간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했으나 호전이 없거나 악화되는 경우에 실시한다. 비수술적 치료는 장기적으로 그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반해 수술적 치료는 비교적 간단하며 결과도 좋은 편이기 때문에 장기간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보다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수술적 치료는 근본적으로 횡 수근 인대를 잘라주어 수근관을 넓혀주는 것으로, 수근관 유리술(carpal tunnel release)이라 부르며, 피부 절개를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개방성과 관절경적 방법으로 나눈다. 일단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려고 하면 수술 전 진단을 확실하게 하고 마취의 위험도 등 환자 상태를 정확하게 따져본 후 어떤 종류의 수술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된다. 원인이 분명한 경우는 수근관 유리술 시에 원인을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개방성 수근관 유리술은 국소 마취 하에 약 2~3cm 절개로 수술이 가능한 비교적 간단한 시술이다. 관절경적 수근관 유리술은 피부의 절개가 줄어들어 수술 후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고 신경 분지 등이 손상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개방성 수근관 유리술이 발전하면서 관절경적 유리술은 점차 그 빈도가 줄고 있다.
3) 치료 결과
수술적 치료로 유리술을 시행한 경우 수술받은 손은 약 2~3일 후부터 최소한의 사용이 가능하고 2주 정도면 어느 정도 일상 생활에서 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최대한의 기능을 얻는 데는 약 6개월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수면 중 통증을 느껴 깨어나는 증세 및 손목이 조이는 느낌은 수술 후 즉시 없어지며, 통증을 동반하는 이상 감각도 약 1주 안에 호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감각의 회복이나 무지구 근력의 회복은 즉시 좋아지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수개월 정도가 걸리며, 신경의 압박이 심하고 오래 경과된 경우에는 12개월 이상 걸릴 수도 있다. 특히 무지구의 위축이 수년 이상 진행된 경우 대부분 어느 정도의 회복은 이루어지지만 영구히 회복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약 3~6개월간은 손바닥이 얼얼하고 조이는 것 같다고 호소하며, 수술한 곳의 상처를 누르면 어느 정도의 불편감이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호전되며 그 기간은 환자마다 다양하다.
경과·합병증
: 증상이 발생한 후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 어느 정도 악화가 진행되었는지는 환자마다 다르고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대개 손을 사용하는 작업을 하지 않고 충분히 휴식을 취하면 증상은 자연적으로 좋아지지만, 초기에 증상이 미약하여 환자가 참는 경우가 많아 무지구 근의 위축이 상당히 진행되어 운동기능의 장애가 나타나 손 사용이 불편함을 느낀 후에야 병원에 오는 경우가 많다.
수근관에서 정중신경 압박이 지속되면 서서히 신경 손상이 진행되어 이 증후군 증세가 지속되고 심해진다. 그러나 신경 압박이 지속되면 오히려 수면 도중 통증을 느껴 깨어나는 증세가 없어지고 통증도 감소하기 때문에 환자는 증상이 호전된 것으로 잘못 느낄 수 있다. 이 경우 신경 손상이 더욱 심해져 해당 부위의 무감각 상태에 이르고 무지구 근의 심한 위축이 나타나 손의 기능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렇게 정중신경의 손상이 매우 심하여 근육 위약(쇠약) 및 위축까지 나타난 경우에는 일반적인 증상완화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수술을 한 경우 결과는 양호한 것이 일반적이며, 심각한 합병증은 1~2% 이내로 거의 없다. 발생 가능한 합병증으로는 정중신경이나 그 수지 신경 분지와 수지 굴곡 건의 손상, 수술 후 출혈이나 혈종 형성, 감염으로 인해 치유가 약간 지연되는 경우도 있다.
예방방법
: 아직까지 수근관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뚜렷한 예방 수칙이나 권고되는 기준은 없으나, 컴퓨터 사용처럼 손목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동작 등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수근관 증후군이 잘 발생하는 중년 여성에게 증상이 발생한 경우에 조기에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치료를 상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국내유일의 정통추나교육학회입니다. 031-746-2011
출처 : 대한수기물리치료학회(http://cafe.daum.net/iptti)
'근,골격계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척추 분리증(spondylolysis), 척추 전방 전위증(spondylolisthesis) (0) | 2011.05.27 |
---|---|
[스크랩] 퇴행성 관절염 (degenerative arthritis) (0) | 2011.02.23 |
[스크랩] 상완골 외측상과염(上腕骨 外側上顆炎, 테니스 엘보:Tennis elbow) (0) | 2011.02.17 |
[스크랩] 회전근개 증후군 (rotator cuff syndrome)3 (0) | 2011.02.17 |
[스크랩] 회전근개 증후군 (rotator cuff syndrome)2 (0) | 201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