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골신경검사 7, 8(골간근검사)-신경외과 척골신경검사 7 척골신경검사 7 : 수근관절부의 척측수근굴근건 바로 바깥측에서 신경을 촉지하여 그것을 손의 척골 신경관부까지 더듬어, 과도한 압통이나 저림이 유 발되지 않은지 조사한다. 척골신경검사 8 척골신경검사 8(골간근 검사) : 환자에게 엄지와 검지 측면으로 종이를 잡게 하여, 그 종이..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척골신경 검사 5, 6 - 신경외과 척골신경 검사 5 척골신경 검사 5 : 팔꿈치를 굽혔다 폈다해서 내측상과 후방에서의 신경이상 가동성을 조사한다. 내측상과 위를 신경이 활탈한것 같으면 외상성척골신경염(신경 계류기구의 누락에 의해)이라 진단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척골신경 검사 6 척골신경 검사 6 : 상완골 내측상과부에서 ..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척골신경 검사 3, 4 - 신경외과 척골신경 검사 3 척골신경 검사 3 : 척골신경은 모두 골간근을 지배하기 때문에, 어느쪽 골간근에 위축이 없는지 조사한다. 대개의 경우 제1지배측 골간근 위축이 처음에 나타나기 때문에, 이부분의 피부함몰이 가장 눈에 띄는 징후이다. 척골신경 검사 4 척골신경 검사 4 : (A) 과상골절등으로 인한 오래..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척골신경검사 1, 2 - 신경외과 척골신경검사 1 척골신경검사 1 : 다음과 같은 특징이 없는지 주의한다. (A) 소지근의 위축 (B) 소지구근의 위축 (C) 피부궤양이나 손톱의 약화 그외 영양변화의 징후 척골신경검사 2 척골신경검사 2 : 환지(약지), 소지(새끼손가락)의 PIP관절 굴곡을 동반한 척측 갈고리 손(claw hand)변형이 있는지 주의한다...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척골신경 장해 호발부위 1, 2 - 신경외과 척골신경 장해 호발부위 1 척골신경 장해 호발부위 1 : (A) 척골신경관 증후군은 두상골과 유구골의 갈고리 사이 에서 장해받는다(결절종으로 인한 압박, 구골절등). 척골신경관 말초측 상해로는 심지(深枝)만 침해당하기 때문에 지각장해는 없다. (B) 수관절부 외상, 특히 열창(裂創), 직업상 받은 상해..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척골신경(내측신경속)의 운동지배,지각지배 척골신경(내측신경속) C6 및T1 운동지배 척골신경(내측신경속) C6 및T1 운동지배 : (A) - 전완에서는 척측수근굴근과 심지굴근 절반. (B) - 손에서는 소지굴근, 골간근, 내측에 있는 2개의 충양근, 무지내전근. 척골신경 - 지각지배 척골신경 - 지각지배 : 손의 정중신경과 척골신경이 지매하는 영역에는 개인..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요골신경 검사5, 6 - 신경외과 요골신경 검사5 요골신경 검사5 : 삼두근을 검사한다. 어깨를 신전시키고 나서, 환자에게 처음에는 중력에 대항하고, 이어서 저항에 맞서 팔꿈치를 신전시키도록 명한다. 삼두근 저하는 상완 중앙부에서의 병변이나, 보다 위쪽에서 불완전 손상을 보인다. 삼두근이 전혀 움직이지 않는 경우는, 상위 완..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요골신경 검사 3, 4 - 신경외과 요골신경 검사 3 요골신경 검사 3 : 회외근을 검사한다. 이두근 회외동작을 부정하기 위해 팔꿈치를 신전위로 한다. 저항을 가하면서 환자에게는 손을 위로 향하도록 지시한다. 요골신경 검사 4 요골신경 검사 4 : 완요골근을 검사한다. 환자에게 저항에 맞서 가볍게 팔꿈치를 안쪽으로 구부리도록 지시..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요골신경 검사 1. 2 - 신경외과 요골신경 검사 1 요골신경 검사(1) : 다음과 같은 점에 특히 주의를 기우려야 한다. (A) 손목이 아래로 쳐지지 않았나, (B) 전완 근육에 위축은 없는가, (C) 고위(중추측)손상을 의미하는 상완 삼두근 위축은 없는가. 요골신경 검사(2) 요골신경 검사(2) : 수관절과 손가락의 신근을 조사한다. 팔꿈치를 안으..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요골신경 손상 호발부위 - 신경외과 요골신경 손상 호발부위 - 신경외과 요골신경 손상 호발부위 (A) : 액와(예 : 지팡이에 의한 압박이나, 의자 등받이에 의한 압박 - 소위 saturday night palsy) (B) : 상완골 중앙부(골절이나 구혈대(tourniguet)로 인한 마비) (C) : 팔꿈치 주변(주관절 탈구후 , Monteggia골절, 강그리온, 때로 수술시 손상등).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