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골신경 - 지각지배 요골신경 - 지각지배 요골신경 - 지각지배 (A) : 종말지(요골신경천지)는 손등 요측을 지배한다. (B) : 후진완피신경은 상완의 높은 부위에서 분지하여 상완과 전완 뒷쪽에 분포하는데, 그 범위는 일정하지 않다.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요골신경(후신경속) C5,6,7,8 T1 - 신경외과 요골신경(후신경속) C5,6,7,8 T1 요골신경(후신경속) C5,6,7,8 T1 운동지배(A) : 상완에서 요골신경은 삼두근에 가지를 친다. 운동지배(B) : 팔꿈치 전면에서 완요골근과 장단 요측 수근굴근에 가지를 낸다. 요골신경 후골간지는 회외근 터널로 들어가기 전에 단요측 수근신근과 회외근 일부에 가지를 친다. 요..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상지말초신경검사 1,2,3 - 액와신경(C5,6 - 후삭신경) 상지말초신경검사 1 - 액와신경(C5,6) 상지말초신경검사 1 - 액와신경(C5,6 - 후삭신경) : 이 신경은 어깨 탈구와 상완골 부근(경부)의 전위골절시에 자주 손상받는다. 자연회복이 되는 것이 보통인데, 이 부위에서의 근위축이 강하면, 어깨 외측부가 평탄해진다. 상지말초신경검사 2 - 액와신경(C5,6) 상지말..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완신경총 평가 - 견갑상 신경(C5,6) 완신경총 평가 - 견갑상 신경(C5,6) 완신경총 평가 - 견갑상 신경(C5,6) : 상신경간에서 나온 가지로 자상근과 자하근을 지배한다. 저항에 맞서 어깨를 밖으로 돌려보게 하여, 자상부 근수축을 느끼며 활동성을 검사한다(자하근은 어깨를 밖으로 돌려보게 하여 자하부 근수축을 조사한다).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장흉신경 평가 - 전거근 손상 (C5,6,7) 장흉신경 평가 - 전거근 손상 (C5,6,7) 장흉신경 - 전거근 손상 (C5,6,7) : 이 손상에 의해 익상견갑이 드러난다. 익상견갑은 양손을 벽에 기대면 드러나는데, 심한 신경총 손상은 이 테스트가 불가능할 수 있다. 주 :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다가 이 신경(장흉신경)의 단독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완신경총 손상 평가 3, 4 - 신경외과 완신경총 손상 평가 3 완신경총 손상 평가 3 : 쇄골하부의 지각장해를 조사한다. 이 부분은 보통 C3,4영역 이다. 지각이상이 있으면 손상이 강하게 완신경총 뿐만아니라 훨씬 상위인 신경근에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것은 예후가 좋지 않은 상위형 손상을 시사하는 소견이다. 완신경총 손상 평가 3 ..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완신경총 평가 2 - Horner 증후군 완신경총 평가 2 - Horner 증후군 완신경총 평가 2 - Horner 증후군 : 상해수절을 결정하면 손상타입 결정을 시도한다. 명확히 결정하기 힘든 것도 있는데 보다 상위에서의 손상소견이 많을수록 뽑힌손상일 가능성이 높아, 그만큼 예후는 좋지않다. Horner 증후군 특징은, (A)위성안검 처짐, (B)상해측동공축소,..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완신경총 평가 1 - 신경외과 완신경총 평가 검사 1 완신경총 평가 1 : 먼저 병소의 퍼짐, 즉 침해 당한 수절을 조사을 조사한다. 그것이 완전한지 불안전한 손상인지 조사한다. 우선 어깨, 팔꿈치, 손, 손가락의 지동운동을 검사하여, 그 결과를 근절마다 평가한다. 이어서 핀, 프릭으로 촉각을 조사하여 상해피부철을 결정한다(이것..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급성기인 외상성 완신경총 손상 - 신경외과 급성기인 외상성 완신경총 손상 : 가장 많은 부상 메카니즘은, 고개를 반대측으로 어께 상방압박 혹은 상지 견인이다. 오토바이사고가 유일하고도 가장 많은 원인이 된다. 사진으로 어깨나 고개가 붙어있는 부분에 상처가 있으면 첫눈에 알 수 있다. 중증예에서는 마비가 되면 축 늘어져 있다.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
경과가 긴 완신경총 손상 1, 2, 3 - 신경외과 경과가 긴 완신경총 손상 1 경과가 긴 완신경총 손상 1 : Erb마비(상위현 분만마비)에서는, 완신경총의 상신경간, 즉 C5,6이 상해를 받아 특징적인 상지 변형이 보인다. 수관절은 굴곡되어 안으로 들어가고, 손가락은 구부러지고, 팔꿈치는 처지고 어깨는 안으로 들어가, 마치 웨이터가 팁을 받고 있는듯.. 정형의학적 검사 2007.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