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완골외상과염(肱骨外上踝炎 : tennis elbow)
**동영상이나 그림이 보이지 않는 게시판은
학회카페(http://cafe.daum.net/iptti) 질환별물리추나란에
오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상완골요골낭염이라고도 하며 요측완신근건의 기시점이 손상받거나 테니스엘보로 발생한다.
상완골외상과는 상완요근 및 전완총신근건의 부착부위이다.
전완이 선전한 위치에서 완관절이 통상 배신성(背伸性) 활동을 하면
그 부착부위의 연조직이 당겨져서 손상이 발생하고 국부적인 출혈, 점연을 유발하며
심하면 활막이 상완요관절 간극에 끼어들어가 동통을 발현한다.
상완골 외상과염
[병인병기]
본 병은 급성 유상(?傷) 또는 납상(拉傷)으로 발병할 수 있으나
다만 발병이 완만하고 일반적으로 외상에서 뚜렷하지 않으며,
전완을 반복 선전하거나 성인의 경우 힘을 주어 팔을 펼 때 많이 보이고 우축에서 많이 발생한다.
전완을 선전(旋轉)활동할 때 완관절과 동시에 배신(背伸)하여 척편(尺偏)의 연동동작을 하면
상완골외상과의 신근군(伸筋群), 더욱이 요측 장단완신근이 부착된 자리가 당겨져
이것이 반복되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주요 병리변화는 아래와 같다.
(1) 신근건의 부착점인 골막 하에 출혈, 소혈종의 형성, 혈종의 점차적 유기화 또는 골막
염에 이를 수 있다.
(2) 신근건의 부착점에 파열이 발생한다.
(3) 환상인대의 창상성(創傷性) 염증 또는 섬유조직염.
(4) 상완요관절 외의 활낭염 또는 상완요관절 활막이 상완골과 요골소두에 끼어 눌려 염
증을 유발한다.
손가락에서 총지신근건이 혈관신경속으로부터 뚫고 나와 주위의 딱딱한 조직 때문에
근육이 부단히 수축하거나 피동적으로 당길 때 통상적으로 제압을 받게 되어 잠재적인 손상 가능성이 있고,
이 때문에 혈관신경속으로부터 뚫고 나온 총지신근건부가 매우 손상받기 쉽다.
나이가 많아지면 섬유결체조직의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어 탄성이 감소할 때 손상의 기회가 많아진다.
혈관신경속이 제압의 자극을 받아 생리적 허용범위를 초과하면
신경가지에서 창상성 염증이 발생하고 만성 염증이 나타나며,
오래 되면 혈관신경속과 근건에 열공(裂孔)이 생겨 점연이 발생하고 증상도 가중된다.
부단한 동통과 제압자극은 보통 혈관이 경련상태로 되어 혈관벽이 두껍게 되고,
심하면 혈관이 전색(栓塞)되고 혈관벽의 수납기(受納器)가 퇴행성으로 되는데,
전색된 혈관이 건막 또는 근건으로부터의 제압을 완전히 견뎌내고 지탱하면 신경지의 작용을 보호하여 증상이 해소된다.
[임상표현]
환자의 팔꿈치 후외측에 산통(?痛)을 보이며 더욱이 선전(旋轉), 배신(背伸), 들기(提),
잡기(拉,), 받치기(端) 동작 시 동통이 더욱 심하여지며,
동시에 완신근(腕伸筋)을 연하여 아래로 퍼진다. 국부적으로 미세한 종창이 나타날 수 있다.
전완의 선전 및 물건 쥐기가 무력하다.
[검 사]
상완골 외상과 자리 및 상완요관절 자리에 뚜렷한 압통이 있고,
완시근을 연하여 근육방향으로 넓은 압통이 있다.
신근 긴장시험과 Mill씨시험(주부검사법) 양성이다.
[치 료]
치료원칙 : 서근활혈법(舒筋活血法)
치료수법 : 곤법(滾法), 안법(按法), 유법(?法), 탄발법(彈拔法), 찰법(擦法)
상완골 외상과염
치료조작
: 先沿肱骨外側?向前臂用滾,按,
?法廣範舒筋活血, 再用彈拔法治療.
患者正坐, 醫者坐于患者病側,
右手持腕使患者右前臂旋后位,
左手用屈曲的拇指端壓于肱骨外上?前方,
其他四指放于?關節內側.
醫者以右手逐漸屈曲患者?關節至最大限度.
左手拇指用力按壓患者肱骨外上?的前方,
然後再伸直其?關節,
同時醫者左手拇指推至患肢橈骨頭之前上面,
沿橈骨頭前外緣向後彈發伸腕肌起點.
施術后患者有橈側三指痲木感及疼痛減輕的現像.
彈發方法?多. 亦可將患肢前臂旋后, 曲?,
安置?上, 在?下?以軟物.
醫者以雙手食,中指拿住肱橈肌?伸腕肌緊向外板,
然後囑病員患肢前臂旋前,
醫者用拇指向外方緊推?近橈側伸腕長短肌.
反復數次, 彈發範圍可向上, 下移動.
最後用擦法(可配合應用擦劑),
擦?外側肱骨外上?及前臂伸肌群.
상완골 외상과염의 추나적 치료 동영상(肱骨外上髁炎的治疗手法 )
**동영상이나 그림이 보이지 않는 게시판은
학회카페(http://cafe.daum.net/iptti) 질환별물리추나란에
오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상완골외상과염(肱骨外上髁炎) 동영상 해설
제일 먼저 수근신근 전체를 곤법(滾法)으로 시술하여 근,건을 이완시켜준 다음,
두 번째로 탄법(彈法)을 사용하여 점연되거나 구축(contracture)된 신근건에 자극을 주고,
세 번째로 안유법(按揉法)을 역시 신근건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네 번째로 관절운동법인 요법(搖法)을 주관절에 적용시키고 있습니다.
주동수로 외과, 내과를 잘 잡고 요법을 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계속해서 요골(radius, 橈骨), 척골(ulna, 尺骨)의 위치를 바로잡아주는
반법(扳法)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에 다시 곤법(滾法)을 시행하고,
마무리로 차법(搓法)을 상완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실제 치료시간은 이보다 조금 더 길게 적용되겠고요,
근이나 건의 이상은 수기법에서 정골교정(골격계 교정법)이 아닌
주변조직을 잘 다루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국내유일의 정통추나교육학회 - 우리전통수기치료교육부
국제물리추나학회(www.iptti.com/ http://cafe.daum.net/iptti)
'질환별 도수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경부 염좌(Cervical sprain) (0) | 2009.10.30 |
---|---|
[스크랩] 추나수법(推拿手法)의 종류 (0) | 2009.10.30 |
[스크랩] 정통추나수기법 - 골다공증(OSTEOPOROSIS) - 물리추나학회제공 (0) | 2009.10.30 |
[스크랩] 상완이두근장두근건 건초염( 肱二頭筋長頭筋腱 腱?炎) - 물리추나외과학 (0) | 2009.10.30 |
[스크랩] 정통추나수기치료법 - 경부 염좌(삠: Cervical sprain) (0) | 2009.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