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골경돌기부 협착성건초염(橈骨莖突起部 狹窄性腱?炎)
협착성 건초염은 지(指), 지(趾), 완(腕), 과(?) 등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다. 단 요골경돌기부에서 매우 많이 발견된다. 건초는 근건의 활낭을 보호하는 것이다. 안팎으로 2층이며 내층은 근건과 긴밀하게 붙어있고, 외층은 활액강(滑液腔)을 통과하여 내층과 나누어진다.
양단에 내외 2층이 서로 이행하여 밀폐된 강극(腔隙)을 구성한다. 내외층 간에 활액이 있고 근건활동 시 마찰에 의하여 감소할 수 있다.(그림 4-20)완부, 장지부, 족부와 견부이두근건구(肩部二頭筋腱溝)의 자리에는 모두 건초가 있어 골격과 기타 조직의 마찰과 압박을 받지 않게 근건을 보호하고 근건을 윤활하게 하며 충분한 활동도를 보장한다.
[병인병기]
완지(腕指)가 보통 활동 또는 단기 활동이 과도하여 건초가 급만성 노손 또는 만성 한냉 자극을 받으면 본병의 주요 원인이 된다. 장무지전근(拇長展筋)은 자신의 척골과 요골 중간 배면에서 기시하여 제1장골저의 외측에서 그치고 주로 무지의 외전활동을 주관한다.
단무지신근은 장무지전근의 하방에 있고 요골 배면에서 기시하여 무지 제1지골저의 배측에서 그치며 무지 제1지골의 배신(背伸)과 무지 외전의 기능을 갖고 있다. 장무지전근과 단무지신근의 근건은 요골경돌기부에서 같이 하나의 건초로 들어가며 길이 약7~8mm이다.(그림 4-21)
건초의 표면은 완배측의 인대로 덮여 있고 그 하방에는 요골경돌기부의 종구(縱溝)가 하나의 섬유성 관도를 형성하고 있다. 관도의 구가 얕고 좁아 표면이 거칠어 무지를 신(伸) 또는 외전 시 근건이 건초 안에서 활동(滑動)하며 마찰이 생긴다.
사람들의 일상적인 노동 중에 통상 무지로 힘을 주어 집기 조작을 하면 근건이 협착된 건초 속에서 부단히 마찰하여, 오래 되면 근건과 건초의 손상성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주요 병리변화는 근건과 건초에 염증, 수종이 발생하고 건초 내외층이 점점 두꺼워져 강도(腔道)가 더 협착되고 근건과 건초 사이에 경도의 점련이 생기며 근건종창과 건초 내의 장력이 증가하여 동통과 기능장애가 생긴다.
병리적 절편검사(切片檢査)로는 만성 염증의 변화를 보며, 완배인대의 실택(失澤), 충혈 및 세포의 침윤반응을 보고, 건초가 장액성(漿液性) 활낭염인가 칼슘 침착인가, 또 근건수종을 보는데, 심하면 섬유의 부분적 단열(斷裂)일 수도 있다.
[임상표현]
비교적 완만하게 발병하며 일반적 외상에서는 분명하지 않다. 환자의 요골돌기부에 동통이 있고 손 또는 어깨, 상완까지 방사하여 팔 및 무지의 활동 시 동통이 심해질 수 있다. 무지가 무력하고 펴기도 제한을 받는다.
요골경돌기부에 딱딱한 결절이 만져질 수 있고 함께 압통이 있으며, 악장시험(握掌試驗) 양성이다. 일반적으로 X-선 검사에 이상은 없다.
[치료]
물리추나치료
* 초기 2?3주는 통증과 염증의 감소를 위하여 휴식과 안정을 취한다.
* 유착방지를 위하여 추나치료를 실시한다.
* 운동치료는 관절가동범위를 넘어서는 무리한 운동은 금한다.
* 세균성일 경우에는 감염부위를 안정시키며 단파를 적용한다.
*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자외선을 국부에 조사한다.
* 염증이 소실되면 추나치료와 능동적 운동을 실시한다.
치료원칙 : 서근활혈법(舒筋活血法)
치료수법 : 안법(按法), 유법(?法), 곤법(滾法), 찰법(擦法)
치료조작 :
(원문 발췌)
多在橈骨莖突部及其上下方采用按,?,滾,擦等手法.
先于前臂伸肌君橈側施滾法, 再点按手三里,
偏歷, 陽溪, 列缺和合谷等穴.
然後醫者用拇指重點?按橈骨莖突部及其上下方,
達到 舒筋活血的目的.
醫者再以一手握住患腕, ?一手握其手指進行對抗牽引,
幷使患腕掌屈, 背屈, 同時緩緩旋轉.
요골경돌기부 및 그 상하방에 안법, 유법, 곤법, 찰법 등을 시술한다.
먼저 전완신근군의 요측에 곤법을 시술하고 수삼리(手三里), 편력(偏歷), 양계
(陽溪), 열결(列缺)과 합곡(合谷)에 점안법(点按法)을 시술한다.
그런 후에 의사는 무지로 요골경돌기부와 그 상하방을 중점적으로 안유하여 서
근활혈의 목적을 달성한다.
의사는 다시 한손으로 환자의 아픈 팔을 쥐고 다른 손으로 손가락을 쥐어 견인
을 진행하며 아픈 팔의 장굴, 배굴을 시킴과 동시에 서서히 선전시킨다.
推按陽溪穴(相當于橈骨莖突局部).
以右手爲例, 術者左手拇指置于橈骨莖突部,
右手食指及中指夾持患者拇指,
拇指及食指等握住患者其他四指向下牽引,
同時向尺側極度屈曲(圖4-22(1))
然後, 術者用左拇指捏緊橈骨莖突部,
用力向掌側推壓?按, 同時右手用力將患者腕部掌屈(圖4-22(2)),
以後再伸展, 反復3~4次.
最後, 以橈骨莖突部爲中心用滾法,
擦時可配合藥物.
亦可配合熱敷及外敷膏藥.
一般每日或隔日治療一次.
양계혈(요골경돌기부에 해당)에 추안법(推按法)을 쓴다.
오른손을 예로 들어, 의사는 왼손 무지를 요골경돌기부에 놓고
오른손 식지 및 중지로 환자의 무지를 깍지 끼어
무지와 식지를 쥔 채 환자의 다른 네 손가락을 아래로 견인하고,
동시에 척측으로 극도의 굴곡을 한다.(그림 4-22(1))
그림 4-22(1)
그런 후 의사는 왼손 무지로 요골경돌기부를 꽉 집고
힘을 주어 장측으로 퇴압제안(推壓?按)함과 동시에 오른손에 힘을 주어
환자의 팔목을 장굴(掌屈)시키며(그림 4-22(2))
이후 다시 신전하는데 3~4회 반복한다.
그림 4-22(2)
최후에 요골경돌기부를 중심으로 찰법을 시술하고
이때 약물을 배합할 수 있다.
역시 핫백 및 고약을 외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일 또는 격일로 1회씩 치료한다.
국내유일의 정통추나교육학회 - 우리전통수기치료교육부
국제물리추나학회(www.iptti.com/ http://cafe.daum.net/iptti)
'질환별 도수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통추나수기법 - 건초낭종(腱鞘囊腫) - 정형외과편 (0) | 2009.10.30 |
---|---|
[스크랩] 정통추나수기법- 지부 건초염(指部 腱?炎) - 정형외과편 (0) | 2009.10.30 |
[스크랩] 정통추나수기치료법 - 정형외과편-상완골외상과염(肱骨外上?炎 : 테니스엘보우) (0) | 2009.10.30 |
[스크랩] 물리추나수기치료 - 정형외과편 - 견봉하 활낭염(肩峰下滑囊炎) (0) | 2009.10.30 |
[스크랩] 극상근건염, 극상근건칼슘화(綱狀筋筋腱炎, 綱上筋筋腱?化) -물리추나외과학 (0) | 2009.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