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부 건초염(指部 腱?炎)
지부 건초염은 탄향지(彈響指), 반기지(?機指)라고도 한다. 본병은 부녀자에게서 많이 보이는데 손가락 모두에 발병하나 무지와 중지에서 제일 많이 보인다.
[병인병기]
손가락을 장기적인 쾌속활동을 하거나 장기적으로 힘을 쓰는 활동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결모의(結毛衣), 강판납지(鋼板蠟紙) 등으로 표현한다. 근건과 건초 간에 반복적인 마찰로 근건과 건초가 손상되어 수종이 발생하고 더욱 만아진다. 국부적으로 건초는 점점 두꺼워져 환상협착(環狀狹窄)을 이루어 수종이 생긴 근건을 압박하면 점차 표주박(葫芦) 모양의 종대(腫大)를 이루고 근건의 활동을 저해한다. 이 종대가 생긴 근건은 초관(?管)의 협착부를 통과하여 창을 돌리는 모양의 동작 및 탄향(彈響)이 나온다. 이 근건이 통과할 수 없으면 손가락을 굴신할 수 없으며 폐쇄(閉鎖)가 된다.(그림 7-23)
그림 7-23
[임상표현]
국부적으로 동통무력하고 새벽에 동통이 심하게 일어나나 조금씩 호전된다. 손가락의 굴신에 제한을 받으며 탄향 및 “반기상(?機狀)”현상이 있다. 심할 때는 손가락이 굴곡되어 꼬이거나 쭉 펴져버리게 된다.
검사 시 피하에 국부적 경결절(硬結絶)이 만져질 수 있고 손가락 굴신 시 결절이 조금씩 따라서 움직이고 함께 탄동감(彈動感)이 있다. 국부적 압통이 뚜렷하다.
[치료]
* 치칙 : 서근활혈법(舒筋活血法)
* 수법 : 염법(捻法), 요법(搖法), 발신법(拔伸法)
* 조작 :
(원문발췌)
用捻法在患指的掌指關節周圍施術, 以舒筋活血.
拔伸患指的掌指關節 :
醫者一手的拇指和食指捏住患指的遠端指骨,
?一手捏住患指的掌指關節近端進行對抗拔伸.
醫者以左手拇指及食指用力持握患手第一掌骨,
以拇指放于患手拇指掌骨遠端的尺側,
食指放于拇指掌骨遠端的橈側,
醫者以右手拇指掌面和屈曲的食指中節待握患手拇指近節遠端,
兩手做對抗牽引, 牽引時屈曲其患指的掌指關節,
幷同時用中指指端抵住患手拇指掌骨遠端掌側(卽腱?狹窄部)
用力向尺側推?其腱?的狹窄部,
往住有?裂感(圖7-24).
환측 손가락의 장지관절 주위에 염법을 시술하여 서근활혈시킨다.
* 장지관절 발신 : 의사는 한손의 무지와 식지로 환지(患指)의 원측 지골을 잡
은 채 다른 손으로 환지의 장지관절 근단을 잡아 서로 발신한다.
의사는 왼손 무지 및 식지에 힘을 주어 아픈 손의 제1장골을 쥐는데
무지는 무지장골 원단의 척측에 놓고 식지는 요측에 놓는다.
의사는 오른손 무지 장면과 구부린 식지 가운데마디로
환수(患手)의 무지 근절 원단을 쥐어 양손으로 서로 견인하고,
견인할 때 장지관절을 구부림과 함께 중지 지단(指端)으로 환수의
무지 장골 원단의 장측(즉 건초협착부)에 버티고 척측으로 힘을 주어
건초의 협착부를 추제(推?)하는데 종종 파열감이 있다.(그림 7-24)
그림 7-24
?一手法, 醫者可用左手緊握其拇指,
先作屈伸活動,
再以右手拇指尖端?患者拇指腱?狹窄部捏垂直位,
用力向橈側推按制壓其狹窄部.
此法可活用于各指部腱?炎.
最後輕搖患指的掌指關節.
以上手法每日或隔日一次, 通過手法起到減少和豫防粘連,
消腫, 擴張狹窄部及?裂狹窄部組織的作用.
다른 수법으로서, 의사는 왼손으로 그 무지를 꽉 쥐고
먼저 굴신활동을 시키고 오른손 무지 첨단과 환자의 무지 건초협착부가
수직위치로 될 때 요측으로 힘을 주어
그 협착부를 퇴안제압(推按?壓)한다.
이 법은 각 손가락의 건초염에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볍게 장지관절에 요법을 시술한다.
이상의 수법은 매일 또는 격일로 1회씩 하고 수법으로써
점련이 감소하거나 예방되고 소종(消腫) 또는 협착부가 넓어지거나
파열된 협착부의 조직을 호전시킨다.
국내유일의 정통추나교육학회 - 우리전통수기치료교육부
국제물리추나학회(www.iptti.com/ http://cafe.daum.net/iptti)
'질환별 도수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통추나수기법- 지간관절유상(指間關節扭傷) -정형외과편 (0) | 2009.10.30 |
---|---|
[스크랩] 정통추나수기법 - 건초낭종(腱鞘囊腫) - 정형외과편 (0) | 2009.10.30 |
[스크랩] 정통추나수기법-요골경돌기부 협착성건초염(橈骨莖突起部 狹窄性腱?炎)-정형외과편 (0) | 2009.10.30 |
[스크랩] 정통추나수기치료법 - 정형외과편-상완골외상과염(肱骨外上?炎 : 테니스엘보우) (0) | 2009.10.30 |
[스크랩] 물리추나수기치료 - 정형외과편 - 견봉하 활낭염(肩峰下滑囊炎) (0) | 2009.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