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및 측정, 이학적 검사

[스크랩] 어깨질환 - 봉우리빗장관절 손상(Acromioclavicular Joint Pathology)

한 울 타 리 2018. 2. 10. 10:32

봉우리빗장관절 손상(Acromioclavicular Joint Pathology)

 



 

: 봉우리빗장관절 인대들의 파열은 “separated shoulder"라고 불리우며, 관절의 불안정이나 탈구가 발생한다. 급성손상이 일어나는 가장 흔한 기전은 clavicle로부터 봉우리가 외력에 의해 이단되거나 반대로 서로 압박될 때 발생한다.

 

예를들면,

* 팔을 뻗은 상태에서 앞으로 넘어질 때 scapulaclavicle 뒤쪽으로 전위된다.

* 봉우리 상부에 가해지는 충격은 scapula가 빗장뼈 아래로 전위된다.

* scapula가 고정되어 있고, scapula부터 빗장뼈를 잡아당길 때.

 

봉우리빗장관절은 과사용과 반복적인 스트레스에 의해서 손상받는다. 손상의 분류는 손상된 구조물, 불안정성의 정도, 봉우리와 부리돌기에 의한 clavicle의 이동 방향 등에 의해 6등급으로 분류된다.

 

1등급

: 봉우리빗장인대와 관절주머니의 경미한 손상 또는 부분 손상으로 봉우리빗장관절 위의

압통은 있으나 이완과 변형은 없음.

 

2등급

: 봉우리빗장인대의 파열과 부리빗장인대의 부분 손상으로 경미한 봉우리빗장관절 이완

약간의 계단 변형 있음.

 

3등급

: 봉우리빗장인대와 부리빗장인대의 완전 파열. deltoid fascia(어깨세모근막)trapezius fascia(등세모근막)의 찢김 가능성이 있다. 봉우리돌기로부터의 clavicle의 뚜렷한 탈구

가 있음.

 

4등급

: 봉우리빗장인대와 부리빗장인대의 완전 파열과 deltoid fasciatrapezius fascia의 찢김이

, clavicle이 등세모근 상부 섬유의 부착부위로 뒤쪽으로 이동됨.

 

5등급

: 4등급과 손상 부위와 정도가 같으나, 반대쪽과 비교하여 봉우리로부터 손상된 clavicle

의 전위가 100~300%되며, deltoidtrapezius의 건막(널힘줄: aponeurosis)의 벗겨

짐과 동반되어 clavicle이 뒤쪽으로 이동.

 

6등급

: 4등급과 손상부위와 정도가 같으나, clavicle이 부리돌기(coracoid process) 아래로 이동된

. 위팔신경얼기(brachial plexus)의 손상이 동반될 수 있음.

 

2등급 이상의 손상에서 clavicle이 위쪽으로 이동된 계단변형(step defomity)이 뚜렷이 보이고, 손상부위를 촉진하면 빗장뼈의 과운동성(hypermobility)이 있다. 먼쪽 빗장뼈를 누르면 들어가고, 손을 떼면 다시 올라오는 피아노 건반 징후(piano key sign) 현상이 있는데, 이는 부리빗장인대(오훼쇄골인대: coracoclavic-ular ligament)의 손상을 의미한다.

 

운동범위를 측정하면 대부분의 움직임, 특히 90도 이상 올리는 동작에서 통증을 호소하며, 능동이나 수동적인 수평모음 시에도 통증이 발생된다. 봉우리빗장관절의 hypermobility가 있으면 빗장뼈 먼쪽의 골절이 봉우리빗장관절의 탈구와 임상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이므로 구분해야 한다.

 

만성 A.C관절 통증은 퇴행성 관절염, 과거의 손상, 노화 등의 결과로 생길 수 있다. 이들 증상은 rotator cuff 증후군의 증상과 쉽게 혼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rotator cuff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반대로 rotator cuff 손상이 봉우리빗장관절의 만성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다.

 

만성과 급성 봉우리빗장관절 손상의 징후와 증상이 유사하지만, 만성은 봉우리빗장관절의 외상 경력이 없는 것이 차이점이다.

 

2등급 이상의 손상에서 clavicle이 위쪽으로 이동된 계단변형(step defomity)이 뚜렷이 보이고, 손상부위를 촉진하면 빗장뼈의 hypermobility가 있다.

 

만일, 먼쪽 clavicle을 누르면 들어가고, 손을 떼면 다시 올라오는 piano key sign(피아노 건반 징후)현상이 있는데, 이는 부리빗장인대(오훼쇄골인대: coracoclavicular ligament: 마름모, 원추 인대로 구성)의 손상을 의미한다.

 

운동범위를 측정하면 대부분의 움직임, 특히 90도 이상 올리는 동작에서 통증을 호소하며, 능동이나 수동적인 수평모음 시에도 통증이 발생된다.

 

봉우리빗장관절의 hypermobility가 있으면 clavicle 먼 쪽의 골절이 봉우리빗장관절의 탈구와 임상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이므로 구분해야 한다.

 

손상을 검사하는데는 견인검사와 압박검사가 있다

 

 

봉우리빗장관절 견인 검사(acromioclavicular traction test)

 

: 봉우리빗장인대(coracoacromial ligament)

부리빗장인대(coracoclavicular ligament)의 염좌를 확인하는 방법.

 

양성: humerus와 어깨뼈가 아래로 내려가며 계단변형이나 통증을 유발시킨다. 또한 양성이 나타나면 빗장뼈 골절을 감별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를 해야 한다.

AC joint traction test와 어깨관절의 불안정성을 검사하는 sulcus sign은 검사방법이 거의 똑같은데, AC joint traction testhumerusscapulaclavicle로부터 멀어지는 것이고, sulcus sign은 위팔뼈머리가 scapulaclavicle로부터 멀어진다는 차이가 있다.

 

 

봉우리빗장관절 압박 검사(AC compression test)

: 봉우리빗장관절의 수평 불안정성을 재현하는 검사법.

 

양성: 통증이 발생하거나, clavicle이 봉우리 위로 돌출.

coracoacromial ligament

coracoclavicular ligament의 염좌를 확인하는 방법.

 

 

 

정통 추나 & 카이로프랙틱 교육기관

 대한수기물리치료학회 

 (http://cafe.daum.net/iptti)

 


출처 : 대한수기물리치료학회
글쓴이 : 한울타리(고정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