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와 상배부의 통증(Neck and Upper Back Pain)
목 주위에서 비롯되는 통증과 기능장애는 요통에 의한 장애 다음으로 임상가에게 흔히 대두되는 문제이다. 경추부의 통증과 기능장애는 목자체의 문제이거나 목에서 비롯되는 통증을 포함한다. 통증의 기원은 척추단위(vertebral segment)의 기능 해부학(functional anatomy)에 따른 경추기능단위(cervical functional unit)의 조직에 관련되어 기술되어 왔다.
경추는 두 개의 주요 척추단위(vertebral segment)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와 하부의 경추 단위 각각은 서로 다른 기능해부학적 구조와 장애를 시사하는 서로 다른 증상을 나타낸다.
환축추관절의 불안정성(C1 and C2 Atlantoaxial Instability)
상부 경추 구조(upper cervical complex)
상부 경추 구조와 관련된 해부학적 구조는 전체적인 인대지지(total ligamentous lntegrity)를 필요로 한다. 이는 환추후두관절(occipito-atlas: O-C1)과 환추축추관절(atlanto-axial: C1-C2)을 지지하는 골성 지지물이 없기 때문이다. 가동성이 가장 큰 환추축추관절은 척추의 가장 움직임이 없는 상부의 환추후두관절(AO)과 하부의 C2-C3사이에 위치한다.
경추회전 전체의 50%는 환추축추관절에서 이루어지며 동시에 환추의 측면 이동이 동반된다. 반면에 후두와 환추 사이에서는 10도~20도의 굴곡과 25도의 신전이 일어나며(그림6-1) 환추축추관절에서는 단지 10도의 굴곡과 5도의 신전이 일어난다.
환추축추관절의 회전은 치상돌기를 둘어싸는 인대로 이루어진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다(그림6-2, 6-3). 횡인대(transverse ligament)는 환추축추인대(atlantoaxial ligament)들 중 가장 크고 강해 그 두께는 7~8mm에 이른다. 횡인대는 환추 외측의 내면에 부착해 치상돌기의 후방으로 주행한다.
작은 십자인대가 횡인대의 중간부위로부터 후두골에 부착되며 이것이 축추체까지 연결되어 교차인대(cross ligament)를 이룬다(그림6-4).
치상돌기(odontoid process)의 상부끝(superior ligament)으로부터 상방으로 올라가는 익상인대(alar ligament)(그림6-2)는 강하고 둥근 모양으로 후두과(occiput condyle)에 부착된다. 이들은 축회전(axial rotation)을 가능케 하며 측면 동작(lateral motion)을 제한 한다. 익상인대는 횡인대가 손상되었을 때 탈골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나머지 인대들(그림6-5)은 상부 경추 구조물(upper cervical complex)의 안정성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상부 경추 구조물의 인대 안정성을 알기 위해 방사선학적으로 스트레스 검사(sterss test)를 시행한다.
상부 경추 구조물로부터 비롯한 증상은 하부 경추 구조물의 증상들처럼 널리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 이는 이곳의 신경해부학적 구조가 최근에야 밝혀졌기 때문이다.
후두신경통(occipital neuralgia)
후두신경통에 대한 첫 참고문헌은 1821년에 있었다. 우선 이것은 승모근 상부의 부착부위에서 나오는 신경의 자극에 의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서 이는 섬유근통(fibromyalgia)의 후유증으로 간주되었다.
후두신경통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척추구조물로부터의 통증증후군은 신경근의 자극 때문이다. 상부 경추 구조물에서는 C2신경근의 배부 분지로부터 비롯된다(그림6-6,6-7). 피절과 근절 분지는 C2와 C3 분지이다.
C2와 C3의 내측 분지는 두반극근(semispinalis)의 심부에서 주행하여 이들을 지배한다(그림6-8). 상대 후두 신경은 수평으로 주행하다(그림6-9) 직각으로 급히 꺽여 전방으로 올라간다. 대후두 신경은 승모근과 흉쇄유돌근 사이의 건막건(aponeurotic) 위의 개구부로부터 나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후두신경통은 삼차 신경통에서처럼 질병의 의미는 아니다. 이 신경의 주행 어디에선가 직접적인 신경 압박에 의해 생기는 것 외에 척추 동맥과 근접해 있기 때문이다(그림6-10, 6-11). 신경통을 발생시키는 세로토닌 누출(leakage)을 야기하는 교감신경계 이상과 같은 상부 경추부의 혈관과 관련된 가설로도 설명된다.
대후두 신경통은 이제는 환추와 축추의 후궁사이에서 눌리거나, 승모근 경련에 의한 직접적인 압박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두통은 하위 경추부 병변에 의해 발행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후두 신경통은 환추축추(C1-C2)의 관절로부터 생긴다는 설이 점차 받아들여지고 있다.
신경통은 외측 환추축추의 관절로부터 나와 C2의 추궁판의 뒤쪽에 위치한 연부조직을 뚫고 나오는 C2의 신경근과 관련이 있다.
경추 신경통은 예측치 못한 경추의 과신전-굴곡손상 특히 회전 요소(rotatory component)에 의한 결과가 아니다. 횡인대와 익상인대는 탄력섬유(elastic fiber)가 거의 없는 교원섬유(collagen fiber)로 구성되어 있다. 횡인대의 중앙 부위에는 교원섬유가 30도의 각도로 서로 겹쳐 있어 외부로부터의 손상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입게끔 되어 있다.
경추해부학(Neck Pain Cervical Spine Anatomy)
427개의 손상된 척추에 대한 문헌을 살펴보면 대부분 인대 손상의 증거를 가지고 있다. 이 인대 손상의 결과는 상부 경추 분절의 불안정성을 가져온다.
상부 경추 신경통이 두통을 야기하는 원인으로 제안되어져 왔다. C2의 신경 차단술은 많은 수의 외상 후 두통을 호소하는 환자에 도움을 주어 왔다. C1-C2의 관절과 이들을 둘러 싼 골막과 인대의 신호는 경수 C2 분절에 입력된다. C1 신경근은 후경신경근이 없이 위의 신경근과 전경신경근의 비수초성 신경섬유로부터 통증을 전달한다.
C2-C3 사이의 후관절은 회전을 주로하는 상부 경추와 굴곡-신전을 하부 경추의 이행부위이다(그림6-12). 이곳은 C2의 신경뿐 아니라 C3에서도 신경지배를 받고 있다. 두통은 하부경부 병소로부터도 오며 이는 C1과 C2 부위의 상행 신경 섬유와 삼차 신경핵 사이와 관계가 있다고도 주장된다.
상대 후두 신경의 차단술은 경추부의 두통을 완화하는데 유효한데 이는 상대 후두 신경이 대부분 C2 신경 섬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며, 반면에 C3,4,5 신경근의 차단술은 별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추손상 이후 상당한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남아있는 환자의 평가는 어렵다. 경부인대의 파열은 보통 자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방사선 영화 촬영술(cineradiogram)에서 이상운동이 나타난다면 인대 불안정성을 의미한다.
경추손상동영상(Cervical Spine injury , Injuries Animation)
경부병리의 근육요소
일세기전부터 경부근육의 파열은 보행장애를 초래한다고 밝혀져 있다. 이는 Magendie에 의해 재조명되고 Claude Bernard가 기술했다. 즉, 경부 근육만 절개했을 경우에도 운동실조가 생긴다는 것이다.
정통추나 &카이로프랙틱교육기관
대한수기물리치료학회
(http://cafe.daum.net/iptti)
'질환별 도수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하부 경추의 검진(Lower Cervical Segment Examination) (0) | 2014.04.21 |
---|---|
[스크랩] 경부근육의 고유 수용과 운동 조절 (0) | 2014.04.18 |
[스크랩] 척추분리증 및 척추전위증(Spondylolysis and Spondylolisthesis) (0) | 2014.04.15 |
[스크랩]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0) | 2014.04.14 |
[스크랩] 도수치료(Manipulation) (0) | 2014.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