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별 도수치료학

[스크랩] 상완신경총 손상(Brachial Plexus Injuries)

한 울 타 리 2014. 7. 7. 08:26

상완신경총 손상(Brachial Plexus Injuries)

 

상완신경총 손상(Brachial Plexus Injuries)

 

  이제까지 논의된 압박증후군 외에 상완신경총의 손상은 흔하고 복잡한 해부학이 관계되어 진단하기 어렵다. 이 손상은 적합한 진단(신경차단, 축삭절단, 신경절단 등이 가능한 징후이다)을 내려야만 치료법과 예후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신경총은 경추신경근과 액와 사이에서 근막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주행 중에 고정된 지점에서 손상되기 쉽다(그림7-12). 상완신경총 병변은 쇄골상부 병변과 쇄골하부 병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는 예후가 불량하고 후자는 90%까지 기능을 회복한다.

 

 

  상완신경총은 C5, C6, C7, C8, T1 등 다섯 개의 신경근으로 이루어진다. 어떤 해부학자들은 C3, C4신경근도 포함된다고 주장한다. 신경근은 신경속(cord) 부위에서 쇄골 밑을 지나게 되고 따라서 상완신경총의 쇄골 상부 손상은 신경속의 윗 부분을 침범한다. 쇄골부위 혹은 그 아래 부위에서 손상되면 신경속 자체 혹은 그 아래에서 침범된다.

 

 

  세 개의 신경간은 다섯 개의 신경근으로 형성되지만 중신경간은 C7 하나로만 이루어진다. 각각의 신경간은 전신경분지와 후신경분지로 나뉜다(그림7-13의 점선). 두 개의 주요신경이 신경간에 포함되지 않는다; 즉 견갑배신경과 장흉벽신경인데 이들은 C5 및 C6으로부터 나오며 순수 운동신경이다 : 전자는 견갑거근과 능형근, 후자는 전거근으로 나간다. 이 신경들의 손상은 견갑골의 "winging"을 초래한다. 견갑상신경은 상신경간(C5, C6)의 Erb점에서 기시하여 극상근과 극하근을 지배한다.

 

  견인손상이 상완신경총에게는 가장 불길한 것인데 그 이유는 신경초가 손상되어 치유될 때 반흔으로 치유되어 신경혈관을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쇄골상부 손상은 다시 신경절이전 손상 및 신경절 이후 손상으로 나뉜다. 전자는 추간공 안에 위치한 후근신경절보다 근위이고 후자는 원위이다(그림7-14). 후지와 전지는 추간공 안에서 합쳐져서 척추신경을 형성한다.

 

 

  신경절이전 손상은 후근신경절 보다 근위부이기 때문에 척수로부터 뿌리가 물리적으로 파괴되고 빠지는 것을 의미하며 다시 붙거나 회복되는 전망은 없는 것이다. 신경절이후 손상은 대개 척추주위근으로 가는 후지나 교감신경절로 가는 말초신경이 출발한 원위부에서 일어난다.

 

  상완총병변은 대부분 불완전성이고, 위약감, 근위축, 반사변화, 감각변화, 교감신경 기능이상 등이 특징이다. 통증은 대개 지속적이고 극심하며 팔꿈치보다 상부에서 느껴지며 팔을 움직이면 악화된다. 비외상성일 때 즉 종양이나 주사에 의한 손상일 때는 통증이나 감각변화 없이 위약감만 경험할 수 있다. 감각변화는 여기 저기 부분적으로 불완전하게 나타나고 교감신경의 침범은 T1을 동시에 침범하지 않는 한 드물다.

 

장흉신경마비에 의한 익상견갑현상(WINGING OF THE SCAPULA_,LONG THORACIC NERVE )

 

 

  다음 소견은 신경절이전 손상을 의미한다.

 

*척추주위근의 탈신경(근전도검사에서 검출)

*견갑골의 익상돌출(능형근 및 거상근의 부전마비로 야기)

*호너증후군(무한증, 축동(縮瞳), 안구함몰, 안검하수 등 4징후)

*히스타민 검사 무반응(히스타민을 피하주사하면 정상적으로는 두드러기, 발적, 홍반등이

  나온다). 경추강조영술에 수막의 주머니가 수막류를 형성하는게 보인다.

 

  신경절이전 병변으로부터 회복한다는 것은 거의 가망이 없는 반면 신경절이후 병변은 회복 가능성이 있으며 수술적 치료로 효과를 볼 수도 있다.

 

호너증후군(The Brachial Plexus & Horner's Syndrome)

 

 

 

신경간(神經幹)의 병변(lesions of the trunk)

 

  상신경총(신경간) 병변

 

  제5,6 경추신경근을 침범하는 손상이 가장 흔하게 보는 것이며 대개는 불안전 손상이다. 전형적으로 침범되는 근육은 삼각근, 이두근, 상완요골근, 상완근이고 드물게 극상근과 견갑하근이 침범된다. 나타나는 근 위약은 견관절 외전, 외회전, 주관절 굴곡, 전완 외회전이다. 감각은 없을 때가 많다.

 

  중신경총(신경간) 병변

 

  이 병변은 관통손상에서 오는 것이 아니면 드믈다. 이 병변은 특징이 삼두근 마비이다. 상완요골근은 침범되지 않는다. 전완 배부나 요골측의 감각 결핍을 볼 수 있다.

 

  하신경총(신경간) 병변

 

  제8경추신경과 제1흉추신경근의 병변중에는 전완 굴근 및 손의 내재근의 마비나 위축을 야기하는게 있다. 감각은 정상이다. T1신경근이 심하게 침범되면 호너증후군을 진단내릴 수 있을 것이다.

 

신경속(神經束)의 병변

 

  징후 및 증상

 

  외측신경속의 병변이 있으면 근피신경과 정중신경의 외측두에 의해서 지배되는 근육이 약해진다. 전완의 굴곡과 내회전이 약해진다. 감각결핍은 전완 외측의 작은 영역에만 국한된다.

 

  내측신경속의 병변이 있으면 척골신경과 정중신경 내측두에 의해서 지배되는 근육으로 약해진다. 감각소실은 전완과 상완의 내측 피부신경 영역에 온다. 이 병변은 원천적으로 정중신경 병변과 척골신경 병변이 혼합된 것이다.

 

  후신경속의 병변이 있으면 삼각근(액와신경)과 손목 및 손가락의 신근(요측)이 약해진다. 그림7-12의 해부를 보면 진단에 도움이 될 것이다.

 

  치료

 

  치료는 대체적으로 대증적이며 각 환자의 필요에 따라 맞추어진다. 적합한 부목을 대주는 것이 중요하다. 물리치료를 하면 약화된 근력의 회복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관통손상후에 유착분리하는 수술 가료는 찬반 양론이 있다. Bonney의 심한 쇄골상부견인손상의 광범한 연구결과를 보면 치료나 수술 가료나 그 결과는 보통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상완신경총의 압박(Brachial Plexus Compression)

 

  상완신경총이 압박되면 상완신경총 자체의 병리가 없어도 압박된 부위에 통증이 있을 때가 많다. 최근 문헌을 보면 이 검사는 어깨부위로의 방사통이 있으면서 다른 경추신경근검사가 확실치 않을 때(그림7-15) 경추신경근병변을 암시한다고 한다.

 

 

  다음과 같은 징후가 있다.

 

 1. 목을 신전할 때 뻗치는 신경근총(Jackson 징후)

 2. Spurling 징후(축성 압박)

 3. Lhermitte 징후(경추 굴곡시 감전같은 징후)

 4. 상완신경총 압박(BP 검사)

 

  BP검사는 검사자의 엄지손가락으로 상완신경총 위를 압박하면 어깨와 팔로 통증이 방사하는 것이다. 검사가 양성이려면 방사통이 일어나야 한다.

 

상완신경총압박검사(Brachial Plexus Compression Test)

 

 

 

상완신경총긴장검사(Brachial Plexus Tension Test)

 

 

  신경근통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경추병변에 의한 것과 상완신경총병변에 의한 것을 감별해야 한다. 근전도검사를 하면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고 경추MRI 검사도 도움이 된다.

 

 

정통추나 &카이로프랙틱교육기관 

대한수기물리치료학회

(http://cafe.daum.net/iptti)

출처 : 대한수기물리치료학회
글쓴이 : 한울타리(고정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