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별 도수치료학

[스크랩] 관절와상완골 관절(Glenohumeral Joint) Ⅰ.

한 울 타 리 2014. 8. 5. 07:41

관절와상완골 관절(Glenohumeral Joint) Ⅰ.

 

견관절해부생리(Shoulder Anatomy Animated Tutorial)

 

  견관절은 인대, 관절낭 및 활액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부조직의 통증과 장애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관절이다. 견관절은 7개의 관절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관절들은 견관절의 정상적인 기능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과 동시에 한편으로는 통증과 장애를 유발하는 병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른 관절에서와 마찬가지로 정확한 병력 청취,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질환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정상의 기능 해부학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견갑대는 다음과 같은 관절들로 구성되어 있다.

 

1. 관절와상완골 관절(Glenohumeral)

2. 상완골상부 관절(Suprahumeral)

3. 견봉쇄골 관절(Acromioclavicular)

4. 쇄골흉골 관절(Claviculosternal)

5. 견갑골 늑골 관절(Scapulocostal)

6. 흉골늑골 관절(Sternocostal)

7. 늑골척추 관절(Costovertebral)

8. 이두상완골 관절(Bicipital-humeral)

 

  관절와상완골 관절은 가장 중요한 견관절 복합체 관절인 동시에 가장 많은 통증과 장애를 유발하는 관절이다. 이 관절은 축 주위를 단순히 회전(rotation) 하는 관절이 아니라 활주(gliding)와 스핀운동(spinning motion)을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적 불일치 관절(incongruous)이다(그림1-1, 1-2).

 

  그러므로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변 연부조직의 지지가 요구된다.

  관절의 기저부는 견갑골의 외측단에 위치한 오목한 관절와(glenoid fossa)로 구성되어 있다(그림1-3).

 

 

 

  관절와는 서양배 모양으로 생겼으며, 깊이가 얕아서 상완 골두를 완전히 감싸지 못하는데, 관절와상완골 관절낭이 부착되는 견갑골 관절순(glenoid labrum) 등의 근육의 작용이 가장 중요하며, 그 밖의 관절와의 각도와 관절낭 상부의 해부학적 구조 등도 어느 정도 관여한다(그림1-4).

 

 

  특히 극상근은 견갑골의 극상근와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의 대결절에 부착되어 상완골이 하부로 아탈구되는 것을 방지한다(그림1-5).

 

 

  관절와상완골 관절의 운동은 회선건개 근육들(rotator cuff muscles)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데(그림1-6),

 

 

  회선건개 근육이라는 이름은 이들이 관절와 내에서 상완골두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견관절의 회전은 외전과 함께 전방 및 후방 굴곡시 일어난다. 상지 운동들은 관절와상완골 관절의 적절한 운동이 있어야 가능하다(그림1-7).

 

 

  팔의 운동은 견관절 복합체를 구성하는 모든 관절의 운동이 동반되어야 가능하다. 상완골이 외전하면 90도 각도에서 상완골의 대결절과 견봉이 부딪히게 되어 더 이상의 외전운동이 불가능하지만, 이 상태에서 상완골을 외회전하면 대결절은 견봉을 통과하여 완전한 외전 운동 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팔을 머리위로 올린 자세에서 운동을 수행시, 먼저 견갑골이 팔을 지탱하고, 흉곽부를 중심으로 견갑골이 점점 회전하여 견봉이 위로 들어 올려져야만 큰 운동범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견갑골의 운동시 견봉쇄골 관절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과 흉골쇄골 관절을 중심으로 한 쇄골부의 회전운동이 요구된다.

 

견갑대움직임(La escápula-Los movimientos de la escápula) 

 

 

  근육의 작용

 

  견관절 운동이 시작되는 초기에 근육의 활동은 조화롭게 조절되고 있다. 즉, 극상근(supraspinatus)은 등척성 수축을 통하여 상완골이 관절와 내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으며, 삼각근은 단지 근긴장성만 유지하고 있고, 견갑골은 견갑골쇄골 인대와 승모근(trapezius) 및 전거상근(serratus anterior)의 등척성 수축을 통하여 수동적으로 지지되고 있다(그림1-8).

 

 

  운동이 시작될 때,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이 수축하면 점진적인 외전 및 전방굴곡이 시작되며, 어느 정도의 각도에 도달하면 삼각근의 수축이 시작되고 원하는 방향의 운동이 증가된다. 초기에 견갑골은 등장성 수축을 유지하고 있으나, 외전 또는 전방굴곡이 진행될수록 견갑골은 등척성 수축을 시작하고, 견봉쇄골 관절 주위로 점점 더 움직인다.

 

  외전 운동시, 극상근, 극하근 및 소원근의 동시 작용에 의해 상완골이 외회전하고, 그 결과 대결절은 견봉 아래 위치하게 된다. 이 때, 견관절 내전근인 견갑하근, 흉근 및 광배근은 수축하지 않는다(그림1-9, 1-10).

 

 

  상지의 능동적인 외전과 전방 운동시에 이두근 건은 이두근 골짜기 내에서 능동적인 운동없이, 수동적으로 상완골두를 내리누름으로써, 상완골두가 관절와내에서 하강하도록 한다. 관절와상완 관절의 비정상적인 운동이 있을 때, 이두근 건에 염증이 발생하여 통증이 유발된다.

 

  관절와상완골 관절낭은 견갑골 관절낭에서 기시하여 상완골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데, 팔을 떨어뜨린채 서있을 때 하방 운동을 제한한다. 외전 및 전방 굴곡시에 하부 주름은 신장되고, 상부 주름은 수축된다(그림1-11).

 

 

  정상 견관절 작용은 견갑골상완골 리듬을 보여주는 조절된 그리고 조화로운 신경근 작용이며, 이는 회선근개 근육들의 무통성 동시 작용의 결과에 기인한다. 관절낭은 유동적이고 온전하여야 하며, 활액낭의 벽은 충분한 윤활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관절의 연골표면은 관절운동을 적절히 유지하도록 해 주어야 하는데, 만약 이러한 기능이 적절히 유지되지 못하면 통증 및 기능 상실이 초래된다.

 

견갑상완관절리듬(Scapulohumeral Rhythm)

 

 

  병원성 인자

 

  기능 상실과 통증은 부적절한 신경근골격계 기능과 동반되어 발생하며, 또한 과다한 활동과 외부의 충격으로 반복적인 손상과 마멸이 유발된다. 통증을 유발하는 병소(외상수용성조직)이면서 정상적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조직들은 그림1-12에 나타나 있다.

 

 

  위에 연관된 모든 조직들은 좁은 공간 내 밀집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윤활 작용과 조화 운동이 필요하다. 한편 섬유골성 부위(fibroosseous case)내에서는 매일 잦은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그림1-13).

 

 

  병력 및 이학적 검사

 

팔을 신전시킨 채 직선적으로 넘어지는 경우가 조직 손상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경우이다. 그러므로 병력을 청취할 때, 사고 당시의 상황과 팔의 위치 등에 대해 자세히 물어 보아야 한다(그림1-14).

 

 

  이학적 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는 진단에 도움이 된다. 비정상적인 신경근 작용이나 반복된 미세손상인 경우 환자 자신은 그 손상기전에 대해 미처 알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더욱 자세한 병력 청취가 요구된다.

 

  비정상적 신경근 작용은 견갑골 상완골 리듬의 이상을 나타내는 지표로, 팔은 적절한 외회전 없이 외전되고 거상된다. 오늘날 여러 레져 활동이나 특정 직업 활동은 반복 손상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그림1-15부터 1-18).

 

 

 

 

  부적절한 자세는 퇴행성 회선건개 질환을 유발하기 쉬우며 이때 견봉은 비정상적인 위치에 놓여있게 된다(그림1-19, 1-20). 일반적으로 컴퓨터 작업시의 자세는 견관절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흉쇄관절(La articulación Esternoclavicular)

 

 

정통추나 &카이로프랙틱교육기관 

대한수기물리치료학회

(http://cafe.daum.net/iptti)

출처 : 대한수기물리치료학회
글쓴이 : 한울타리(고정호) 원글보기
메모 :